맨위로가기

미국 수정 헌법 제2조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미국 수정 헌법 제2조는 "잘 규율된 민병대는 자유로운 주의 안보에 필수적이므로, 무기를 소지하고 휴대하는 인민의 권리는 침해될 수 없다"는 내용을 담고 있다. 이 조항은 미국 헌법의 권리 장전 중 하나로, 총기 소유에 대한 논쟁의 핵심이 된다. 수정 헌법 제2조는 영국 권리 장전의 영향을 받았으며, 미국 독립 혁명 전후의 상황과 노예제 유지와도 연관되어 논의되었다. 조항의 해석과 관련하여 "개인의 권리"와 "주의 권리" 이론이 대립하며, 미국 연방 대법원은 판례를 통해 수정 헌법 제2조에 대한 해석을 발전시켜 왔다. 2008년 헬러 사건에서 대법원은 개인의 무기 소지 권리를 인정하는 판결을 내렸지만, 이 권리는 무제한적인 것은 아니며, 중범죄자나 정신 질환자의 총기 소지 금지 등 예외가 존재한다.

2. 전문

연방하원과 상원을 통과한 미국 헌법 수정조항 제2조의 원문 내용은 다음과 같다.

: 잘 규율된 민병대는 자유로운 의 안보에 필수적이므로, 무기를 소장하고 휴대하는 인민의 권리는 침해될 수 없다.

: A well regulated Militia, being necessary to the security of a free State, the right of the people to keep and bear Arms, shall not be infringed.영어

각 주에 배포되어 비준된 미국 헌법 수정조항 제2조의 원문 내용은 다음과 같다.

: A well regulated militia being necessary to the security of a free State, the right of the People to keep and bear arms shall not be infringed.영어

미국 수정 헌법 제2조의 텍스트에는 대문자, 구두점 사용 등 여러 버전이 존재한다. 미국 의회에서 통과되어 전시된 버전과 각 주에서 비준한 버전 사이에도 차이가 있다.[24][25][26][27] 이러한 차이점은 수정 헌법의 의미에 대한 논쟁의 초점이 되어 왔으며, 특히 법원이 서문이라고 부르는 부분의 중요성에 대한 논쟁이 있었다.[28][29]

필경사 윌리엄 램버트가 작성한 원본 초안의 나머지 부분과 함께 의회를 통과한 권리 장전의 최종 원본 필사본은 미국 국립 문서 기록 관리청에 보존되어 있다.[30] 이는 델라웨어가 비준한 버전이며,[31] 대법원이 ''District of Columbia v. Heller'' 사건에서 사용한 버전이다:[32]

: 규율 있는 민병대는 자유로운 주의 안전에 필수적이므로, 무기를 소지하고 휴대하는 인민의 권리는 침해될 수 없다.

메릴랜드 주와 같이 일부 주에서 비준한 버전은 첫 번째 또는 마지막 쉼표를 생략했다:[31][33][25]

: 규율 있는 민병대가 자유로운 주의 안전에 필수적이므로, 무기를 소지하고 휴대하는 인민의 권리는 침해될 수 없다.

뉴욕, 펜실베이니아, 로드 아일랜드, 사우스캐롤라이나 주의 비준 법안에는 쉼표가 하나만 포함되어 있었지만, 대문자 사용에 차이가 있었다. 펜실베이니아 주의 법안은 다음과 같다:[34][35][36]

: 규율 있는 민병대가 자유로운 주의 안전에 필수적이므로, 무기를 소지하고 휴대하는 인민의 권리는 침해될 수 없다.

뉴저지 주의 비준 법안에는 쉼표가 없다:[31]

: 규율 있는 민병대가 자유로운 주의 안전에 필수적이므로, 무기를 소지하고 휴대하는 인민의 권리는 침해될 수 없다.

2. 1. 다양한 버전의 원문


A well regulated Militia, being necessary to the security of a free State, the right of the people to keep and bear Arms, shall not be infringed.}}

각 주에 배포되어 비준된 미국 헌법 수정조항 제2조의 원문 내용은 다음과 같다.

미국 수정 헌법 제2조의 텍스트에는 대문자, 구두점 사용 등 여러 버전이 존재한다. 미국 의회에서 통과되어 전시된 버전과 각 주에서 비준한 버전 사이에도 차이가 있다.[24][25][26][27] 이러한 차이점은 수정 헌법의 의미에 대한 논쟁의 초점이 되어 왔으며, 특히 법원이 서문이라고 부르는 부분의 중요성에 대한 논쟁이 있었다.[28][29]

필경사 윌리엄 램버트가 작성한 원본 초안의 나머지 부분과 함께 의회를 통과한 권리 장전의 최종 원본 필사본은 미국 국립 문서 기록 관리청에 보존되어 있다.[30] 이는 델라웨어가 비준한 버전이며[31], 대법원이 ''District of Columbia v. Heller'' 사건에서 사용한 버전이다:[32]

메릴랜드 주와 같이 일부 주에서 비준한 버전은 첫 번째 또는 마지막 쉼표를 생략했다:[31][33][25]

뉴욕, 펜실베이니아, 로드 아일랜드, 사우스캐롤라이나 주의 비준 법안에는 쉼표가 하나만 포함되어 있었지만, 대문자 사용에 차이가 있었다. 펜실베이니아 주의 법안은 다음과 같다:[34][35][36]

뉴저지 주의 비준 법안에는 쉼표가 없다:[31]

3. 역사적 배경

미국의 헌법 전문가인 조지타운 대학교 법학센터 피터 버니 교수는 “행정력이 미치지 못하는 광활한 땅을 개척해야 했던 미국에선 총기 소유는 자신은 물론 가족의 생명과 재산을 지키기 위해서 반드시 필요한 권리로 간주돼 왔다”며 “여기에는 국가가 개인을 온전히 보호해 줄 수 없다는 관념도 영향을 미쳤다”고 설명했다.[331] 이 수정헌법은 영미법에 부분적으로 기초하며 권리장전 (영국)에 의해 영향을 받았다. 윌리엄 블랙스톤은 이 권리에 대해 "보조적인 권리의 하나로 자기 방어의 자연적 권리를 지지하고 억압에 저장하며 국가의 방어와 조화하도록 하기 위한 시민적 의무"로 묘사하였다. 제임스 먼로존 애덤스는 헌법이 비준되도록 찬성하였고, 가장 영향력은 준 법의 제정자는 제임스 매디슨이었다.

== 영국 권리장전의 영향 ==

이 수정헌법은 영미법에 부분적으로 기초하며 권리장전 (영국)에 의해 영향을 받았다.[37] 윌리엄 블랙스톤은 이 권리에 대해 "보조적인 권리의 하나로 자기 방어의 자연적 권리를 지지하고 억압에 저장하며 국가의 방어와 조화하도록 하기 위한 시민적 의무"로 묘사하였다.[37][46][47][48]

영국 역사에서 개신교 신자들이 무기를 소지할 권리는 영국 common law에서 개인의 안전, 자유, 사유 재산에 대한 기본 권리의 보조적인 권리로 간주된다.[37] 윌리엄 블랙스톤 경에 따르면, "국민의... 마지막 보조 권리는 자신의 신분과 지위에 적합하고 법에 의해 허용되는 무기를 소지하여 자신을 방어할 수 있는 권리입니다. 이는... 법령에 의해 선언되었으며, 사회와 법의 제재가 억압의 폭력을 억제하기에 불충분할 때 저항과 자기 보존의 천부적 권리를 적절한 제한 하에 공적으로 허용하는 것입니다."[37]

1689년 영국 권리 장전은 영국 정치의 격동적인 시기에 등장했는데, 당시 의회의 동의 없이 통치하려는 국왕의 권한과 가톨릭교도의 역할이 주요 갈등의 원인이었다. 가톨릭교도인 제임스 2세는 명예 혁명으로 폐위되었고, 개신교도 윌리엄 3세와 메리 2세는 권리 장전에 명시된 조건을 수락했다.[39]

이 법안은 제임스 2세가 정부에 반감을 가진 개신교도들의 무장을 해제한 후, 상비군 유지에 대한 의회와의 논쟁에서 국왕이 신하들의 무장을 해제할 수 있는 권한 문제를 해결했다.[39] 이 법안은 제임스 2세에 의해 짓밟힌 "고대 권리"를 회복하기 위해 제정되었다고 명시하고 있지만, 영국 권리 장전이 무기를 소지할 의무에서 발전한 새로운 권리를 창출했다는 주장도 있다.[39] 그러나 2008년 ''District of Columbia v. Heller'' 사건에서 대법원은 영국 권리 장전 통과 당시의 영국 권리는 "분명히 개인의 권리였으며, 민병대 복무와는 전혀 관련이 없었"으며, 국왕에 의해 무장 해제되지 않을 권리였고, 무기를 소지할 새로운 권리를 부여하는 것이 아니라고 언급했다.[40]

1689년 영국 권리 장전에는 "개신교 신민은 자신의 신분에 적합하고 법에 의해 허용되는 무기를 방어를 위해 가질 수 있다"는 내용이 포함되어 있다.[41] 그러나 미래의 의회를 구속하려는 조항도 포함되어 있었지만, 영국 헌법상 어떤 의회도 이후의 의회를 구속할 수 없다.[42]

영국 권리 장전은 의회의 동의 없이 국왕에 의해 무장 해제되지 않을 개신교 시민의 권리를 주장하고 이전 국왕이 불법적으로 제거했던 개신교도들의 권리를 회복하는 것임을 분명히 했다.[41]

영국 권리 장전과 기존 권리를 성문화하고 새로운 권리를 창설하지 않는 미국 수정 헌법 제2조 사이의 역사적 연관성은 미국 대법원에 의해 인정되었다.

영국 권리 장전은 무기가 "법에 의해 허용되어야" 한다는 조항을 포함한다.[43] 이는 법안 통과 전후에 마찬가지였으며, 사냥을 위한 총기 소유에 대한 이전의 제한을 무효화하지는 않았지만, 의회가 이전의 법령을 명시적으로 또는 묵시적으로 폐지할 권한을 받았다.[43]

1688-89년의 사건이 실제로 얼마나 혁명적이었는지에 대해 의견 차이가 있으며, 영국 권리 장전의 조항이 새로운 법을 대표하는 것이 아니라 기존의 권리를 명시한 것이라고 지적하는 의견도 있다.[44] 영국 권리 장전 전후에 정부는 왕국의 평화를 위험하다고 간주하는 모든 개인 또는 계층의 무장을 항상 해제할 수 있었다.[45] 1765년, 윌리엄 블랙스톤 경은 18세기의 영국에서 무기를 소지할 권리를 권리 장전에 "선언된" 신민의 보조적 권리로 설명하는 ''영국 법 주석''을 저술했다.[37]

수정 헌법 제2조의 작성자들이 영국 권리 장전의 영향을 크게 받았다는 데는 의심의 여지가 없다. 자기 방어를 위해 무기를 소지할 필요성은 옛날부터 전 세계의 사람들이 자신과 다른 사람들을 보호하기 위해 무장을 해왔고, 조직화된 국가가 나타나기 시작하면서 이러한 배열은 국가의 보호로 확장되었다.[49]

== 미국 독립 혁명 전후의 상황 ==

영미법에 부분적으로 기초하고 권리장전 (영국)에 영향을 받은 이 수정헌법은, 윌리엄 블랙스톤에 의해 "자기 방어의 자연적 권리를 지지하고 억압에 저항하며 국가의 방어와 조화하도록 하기 위한 시민적 의무"로 묘사되었다.[57] 제임스 먼로존 애덤스는 헌법 비준에 찬성하였고, 가장 영향력 있는 법 제정자는 제임스 매디슨이었다.



잉글랜드의 찰스 1세는 파괴적, 침략적, 유해하거나 귀찮게 하는 세력으로부터의 특별 방위 및 안전을 위해 무기 사용을 허가했다.[58] 초기 미국인들은 찰스 1세가 염두에 두었던 용도 외에도 무기를 폭정 정부로부터의 보호,[65] 노예 반란을 포함한 반란 진압,[66][67][68] 자연적인 자위권의 용이함[70] 등 다른 용도로 사용했다. 어떤 고려 사항이 가장 중요하게 여겨져 제2차 수정 헌법에 표현되었는지는 논쟁의 대상이지만, 초기 주 헌법에는 이러한 목적 중 일부가 명시적으로 언급되었다. 예를 들어, 1776년 펜실베이니아 헌법은 "국민은 자신과 국가를 방어하기 위해 무기를 소지할 권리를 가진다"고 주장했다.[71]

1760년대 혁명 이전 기간 동안, 기존 식민지 민병대는 영국 통치에 충성하는 사람들을 포함하여 식민지 주민으로 구성되었다. 영국 통치에 대한 반항과 반대가 발전하면서, 영국으로부터 독립을 선호하는 애국자들 사이에서 민병대의 왕당파에 대한 불신이 널리 퍼졌다. 일부 애국자들은 왕당파를 배제한 자체 민병대를 만들고 독립적인 무기고를 확보하려 했으며, 이에 대응하여 영국 의회는 미국 식민지에 대한 총기, 부품 및 탄약 금수 조치를 제정했다.[72] 조지 3세 국왕은 1760년대와 1770년대에 가장 반항적인 지역에 있는 개인들의 무장을 해제하기 시작했다.[73]

미국 독립 전쟁 초기에 식민지 애국자 민병대 무기고를 무장 해제하려는 영국과 왕당파의 노력은 애국자 식민지 주민들이 권리 장전, 권리 장전의 블랙스톤 요약, 자체 민병대 법률 및 자위권에 대한 일반법을 인용하여 항의하는 결과를 낳았다.[74] 패트릭 J. 찰스는 애국자들의 유사한 무장 해제를 인용하고 블랙스톤에 대한 학자들의 해석에 이의를 제기한다.[75] 식민지 주민의 무기 소지 및 압제에 대한 반란 권리는 1769년 혁명 전 신문 사설에서 타운젠드 법에 대한 식민지 반대에 대한 왕실의 탄압에 반대하며 주장되었다.[74][76]

미국 독립 혁명을 승리하게 한 군대는 대륙 회의에 의해 창설된 정규 대륙군, 프랑스 정규군 및 해군과 다양한 주 및 지역 민병대로 구성되었다. 영국군은 정규 영국 육군, 왕당파 민병대 및 헤센 용병 용병의 혼합으로 구성되었다. 혁명 이후 미국은 연합 규약에 의해 통치되었는데, 연방주의자들은 군사적 약점을 초래했다고 주장하며 정규군이 80명으로 축소되었다고 주장했다.[77] 그들은 셰이 반란으로 알려진 서부 매사추세츠에서 발생한 무장 조세 반란에 대해 효과적인 연방 군사적 탄압이 없었던 것을 잘못된 것으로 간주했다.[78] 반연방주의는 제한된 정부의 편을 들었고 반군에게 동정심을 느꼈다. 미국 헌법 제정 회의는 1787년에 의회에 무제한 규모의 정규 육군과 해군을 소집하고 지원할 독점적 권한을 부여할 것을 제안했다.[79][80] 반연방주의는 주에서 연방 정부로의 권력 이동에 반대했지만, 헌법 채택이 유력해지면서 연방 권력에 대한 일부 제한을 가하는 권리 장전을 제정하는 방향으로 전략을 전환했다.[81]

현대 학자 토마스 B. 맥아피와 마이클 J. 퀸란은 제임스 매디슨이 "제2차 수정 헌법을 초안할 때 무기를 소지하고 휴대할 권리를 발명한 것이 아니라, 이 권리는 일반법과 초기 주 헌법 모두에 이미 존재했다"고 말했다.[82] 역사가 잭 래코브는 매디슨이 제2차 수정 헌법을 제정하려는 의도는 민병대가 무장 해제되지 않을 것이라는 점을 온건한 반연방주의자들에게 확신을 주기 위한 것이었다고 시사한다.[83]

총기 규제 논쟁의 한 측면은 총기 규제 법률과 부당한 정부에 반란을 일으킬 권리 간의 갈등이다. 블랙스톤은 그의 ''주석서''에서 이 반란의 권리를 저항과 자기 보존의 자연권으로 언급했으며, 이는 최후의 수단으로만 사용되어야 한다고 했다.[37] 일부는 권리 장전의 제정자들이 정치 권력뿐만 아니라 국민, 주 및 국가 간의 군사 권력의 균형을 맞추려고 했다고 믿는다.[84] 이는 알렉산더 해밀턴이 1788년에 발표한 "민병대에 관하여" 에세이에서 설명한 내용과 같다.[84][105]

주의 방어가 필요할 때마다 훌륭하게 훈련된 민병대, 즉시 현장에 투입할 준비가 된 민병대를 갖는 것이 가능하다. 이것은 군사 시설에 대한 요구를 줄일 뿐만 아니라, 상황이 어떤 시점에 정부가 어떤 규모의 군대를 구성해야 할 경우, 훈련과 무기 사용에 있어 거의 또는 전혀 열등하지 않은 시민들로 구성된 대규모 단체가 자신의 권리와 동료 시민의 권리를 방어할 준비가 되어 있는 한 그 군대는 국민의 자유에 위협이 될 수 없다. 이것은 저에게 상비군을 위해 고안될 수 있는 유일한 대안이며, 상비군이 존재해야 하는 경우 이에 대한 최상의 보안 장치로 보입니다.}}

1789년에는 반연방주의자가 설명한 정부의 폭정으로부터 "국민"이 싸우는 문제, 또는 연방주의자가 설명한 "국민"의 중우 정치 위험에 대한 논쟁이 진행되었으며, 이는 점점 더 폭력적인 프랑스 혁명과 관련되었다.[85] 헌법 비준에 대한 논쟁 동안 광범위하게 퍼진 두려움은 연방 정부가 주를 군사적으로 장악할 가능성이 있다는 것이었으며, 이는 의회가 시민의 무장을 금지하는 법률을 통과시키는 경우에 발생할 수 있다.[74] 헌법 제1조 제8항에 의해 민병대를 무장할 권한이 주에서 연방 정부로 이양되었을 때 주가 시민을 무장할 권한을 잃었다고 주장해 왔지만, 무장을 할 개인의 권리는 1792년 민병대 법과 1795년의 유사한 법에 의해 유지되고 강화되었다.[86][87]

최근에는 일부 사람들이 제2차 수정 헌법의 반란 이론이라고 불리는 것을 발전시켰으며, 이는 부당하다고 생각하는 정부에 대해 무기를 드는 것은 모든 시민의 권리라고 본다. 이러한 해석은 미국 전국 총기 협회 (NRA)와 같은 단체와 일부 선출직 공무원을 포함한 다양한 개인에 의해 표명되었다.[88][89] 그러나 제이미 라스킨 미국 하원 의원은 헌법 법률이나 학문적 연구에서 이러한 견해의 근거는 없다고 주장했다.[90]

'1776년 5월 10일 이후 채택된 최초의 주 헌법 내 관련 조항 및 절.'



== 노예제 유지와의 연관성 ==

영미법과 권리장전 (영국)에 영향을 받은 수정헌법 제2조는 윌리엄 블랙스톤에 의해 자기 방어와 국가 방어를 위한 시민의 권리이자 의무로 묘사되었다.[128] 제임스 먼로존 애덤스는 헌법 비준에 찬성했고, 제임스 매디슨이 법 제정에 큰 영향을 주었다.

미시시피 노예 순찰대의 삽화


칼 T. 보거스 박사는 수정 헌법 제2조가 남부 주들이 민병대를 유지하여 노예 제도를 유지하기 위해 작성되었다고 주장한다.[127][128] 그는 제임스 매디슨의 저술을 분석하며, 1788년 패트릭 헨리가 노예 반란 시 주 정부가 아닌 의회만이 민병대를 소집할 수 있다는 점을 우려했다고 설명한다.[127][128] 보거스는 매디슨이 노예 소유주들의 우려를 해소하고, 연방 정부가 민병대를 무장 해제하지 않을 것이라는 점을 보장하기 위해 수정 헌법 제2조를 작성했다고 주장한다.[127]

그러나 법률 역사학자 폴 핀켈만은 이 주장에 대해 회의적인 입장을 보인다.[69] 헨리와 조지 메이슨은 매디슨의 정치적 적이었고, 권리장전 작성 당시 의회에 없었으며, 헨리는 헌법과 수정 헌법 제2조 비준에 반대했다는 점을 지적한다.[69]

18세에서 45세 사이의 남부 백인 남성은 노예 순찰대에 복무해야 했다.[129] 1755년과 1757년 조지아 법률은 순찰대가 매달 모든 농장을 검사하고, '모든 흑인 가옥'을 수색하여 무기를 찾고, 농장 밖에서 발견된 노예를 체포하여 채찍질하도록 승인했다.[130][131] 핀켈만은 수정안이 주의 민병대 유지 권리를 보호하기 위해 작성되었지만, 노예 순찰대의 근거가 된 주의 경찰 권한과는 관련이 없다고 주장한다.[69]

노예 소유주들은 노예들이 군 복무를 통해 해방될 수 있다는 것과 노예 반란을 두려워했다.[132][133] 아이티 혁명이 진행 중이었기 때문에, 무기 소지 권리는 민병대 가입과 연결되었고, 남부에서는 백인만이 민병대에 가입할 수 있었다.[133] 1776년 토머스 제퍼슨이 제안한 버지니아 헌법 초안은 자유 흑인의 무기 소지를 금지하지 않았기 때문에 거부되었다.[134]

== 제정 과정 ==

1757년 영국 의회는 "영국이라 불리는 대영제국의 여러 카운티에서 민병대 병력을 더 잘 정돈하기 위한 법"을 제정했다.[51] 이 법은 "잘 정돈되고 훈련된 민병대는 이 왕국의 안전, 평화 및 번영에 필수적"이며, 민병대 규제를 위한 현재의 민병대 법은 결함이 있고 효과가 없다고 선언했다. 이 법의 영향을 받아 1775년 티모시 피커링은 "민병대 훈련의 쉬운 계획"을 만들었다.[52] 이 계획이 인쇄된 매사추세츠주 세일럼 주변의 사건들로 인해 크게 제약을 받은 피커링은 이 글을 조지 워싱턴에게 제출했다.[53] 1776년 5월 1일, 매사추세츠 만 의회는 1757년 법을 수정한 피커링의 훈련 방식을 민병대의 훈련 방식으로 결정했다.[54] 1779년 3월 29일, 대륙군 구성원들을 위해 이것은 폰 슈토이벤의 미국 육군 군대 규율로 대체되었다.[55] 수정 헌법 제2조가 비준됨에 따라, 1792년 5월 8일 이후, 두 가지 선언을 제외한 모든 미국 민병대는 폰 슈토이벤의 훈련 방식에 의해 규제될 것이다.[56]

1785년 3월, 버지니아와 메릴랜드 대표들은 마운트 버논 회의에 모여 연합 규약의 비효율성을 해결하기 위한 방안을 모색했다. 다음 해, 애나폴리스 회의 (1786)에서 메릴랜드주 애나폴리스에서 5개 주( 뉴저지, 뉴욕, 펜실베이니아, 델라웨어, 버지니아)에서 온 12명의 대표들이 모여 현재 정부 모델의 문제점을 목록으로 작성했다. 회의가 끝나자 대표들은 1787년 5월 펜실베이니아주 필라델피아에서 후속 회의를 열어 다음과 같은 문제점을 해결할 방안을 제시하기로 했다.[106][107]

  • 주 간 분쟁을 처리할 주 간 중재 절차 부재;
  • 반란을 진압하기 위한 충분히 훈련되고 무장한 주내 치안 부대 부재;
  • 외국 침략자를 격퇴할 국가 민병대 부재.


이 세 가지 문제에 대한 해결책은 주의 민병대에 대한 통제권을 연방 의회로 이전하고 상비군을 징집할 권한을 부여하는 것이 필요하다는 것이 곧 명백해졌다.[108] 헌법의 제1조, 제8절은 의회가 다음을 수행하여 미국의 공동 방위와 일반 복지를 위해 규정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이러한 변경 사항을 성문화했다.[109]

  • 육군을 징집하고 지원하지만, 그 사용에 대한 자금 배정은 2년을 초과할 수 없다;
  • 해군을 제공하고 유지한다;
  • 육군 및 해군에 대한 정부 및 규정에 대한 규칙을 제정한다;
  • 연합의 법률을 집행하고, 반란을 진압하고 침략을 격퇴하기 위해 민병대를 소집할 것을 규정한다;
  • 민병대를 조직하고, 무장하고, 훈련시키고, 미국에서 복무하는 민병대의 일부를 통치하며, 장교의 임명과 의회가 규정한 규율에 따라 민병대를 훈련시킬 권한을 각 주에 유보한다.


일부 대표들은 연방 권한을 확대하려는 제안을 불신했는데, 이는 권력 집중의 내재적 위험에 대해 우려했기 때문이다. 연방주의자들은, 제임스 매디슨을 포함하여, 초기에 권리 장전은 불필요하다고 주장했는데, 이는 연방 정부가 민병대를 압도할 수 있을 만큼 강력한 상비군을 결코 징집할 수 없을 것이라고 충분히 확신했기 때문이다.[110] 연방주의자 노아 웹스터는 무장한 시민이 상비군의 자유에 대한 잠재적 위협에 저항하는 데 아무런 문제가 없을 것이라고 주장했다.[111][112] 반면 반연방주의자들은 헌법을 새로운 정부에 대한 보다 명시적인 제약을 제공하는 명확하게 정의되고 열거된 권리로 수정할 것을 옹호했다. 많은 반연방주의자들은 새로운 연방 정부가 주의 민병대를 무장 해제할 것을 두려워했다. 연방주의자들은 특정 권리만 나열하면 나열되지 않은 권리가 보호를 잃을 수 있다고 반박했다. 연방주의자들은 권리 장전 없이는 헌법을 비준할 충분한 지지가 없다는 것을 깨달았고, 따라서 헌법 채택 후 권리 장전을 추가하기 위해 헌법을 수정하는 것을 지지하겠다고 약속했다. 이 매사추세츠 타협은 충분한 반연방주의자들이 헌법에 찬성 투표하도록 설득하여 비준을 가능하게 했다.[113] 헌법은 1788년 6월 21일에 비준되었으며, 이는 원래 13개 주 중 9개 주가 비준했기 때문이다. 나머지 4개 주는 나중에 따랐지만, 마지막 두 주, 노스캐롤라이나와 로드아일랜드는 의회가 권리 장전을 통과시켜 주에 비준을 보낸 후에야 비준했다.[114] 제임스 매디슨은 결국 권리 장전이 된 초안을 작성했으며, 이는 1789년 6월 8일 제1차 의회에 의해 제안되었고 1791년 12월 15일에 채택되었다.

헌법 비준을 둘러싼 논쟁은 특히 원리주의와 엄격 해석 법 이론의 지지자들에게 실질적으로 중요하다. 이러한 법 이론 및 기타 맥락에서 헌법의 언어가 헌법을 작성하고 비준한 사람들에게 어떤 의미였는지 이해하는 것이 중요하다.[115]

펜실베이니아 대표인 로버트 화이트힐은 개인에게 제철에 자신의 땅에서 사냥할 권리를 명시적으로 부여하는 권리 장전을 통해 헌법 초안을 명확히 하려고 시도했지만,[116] 화이트힐의 언어는 논의된 적이 없다.[117]

새로운 헌법에 대한 상당한 반대가 있었는데, 그 이유는 주 민병대를 무장시킬 권한을 주에서 연방 정부로 이양했기 때문이다. 이는 연방 정부가 민병대 유지를 소홀히 함으로써 상비군과 해군을 유지할 수 있는 권한을 통해 압도적인 군사력을 갖게 되어 주와 대립하고, 주의 유보된 권한을 침해하며, 심지어 군사적 장악에 나설 수 있다는 두려움을 야기했다. 연합 규약 제6조는 다음과 같이 명시하고 있다:[118][119]

{{blockquote|평화 시에 어떤 주에서도 전쟁용 선박을 유지할 수 없으며, 단, 연합 의회에서 해당 주의 방어나 무역을 위해 필요하다고 간주하는 수만 유지할 수 있다. 또한, 평화 시에 어떤 주에서도 군대를 유지할

3. 1. 영국 권리장전의 영향

이 수정헌법은 영미법에 부분적으로 기초하며 권리장전 (영국)에 의해 영향을 받았다.[37] 윌리엄 블랙스톤은 이 권리에 대해 "보조적인 권리의 하나로 자기 방어의 자연적 권리를 지지하고 억압에 저장하며 국가의 방어와 조화하도록 하기 위한 시민적 의무"로 묘사하였다.[37][46][47][48]

영국 역사에서 개신교 신자들이 무기를 소지할 권리는 영국 common law에서 개인의 안전, 자유, 사유 재산에 대한 기본 권리의 보조적인 권리로 간주된다.[37] 윌리엄 블랙스톤 경에 따르면, "국민의... 마지막 보조 권리는 자신의 신분과 지위에 적합하고 법에 의해 허용되는 무기를 소지하여 자신을 방어할 수 있는 권리입니다. 이는... 법령에 의해 선언되었으며, 사회와 법의 제재가 억압의 폭력을 억제하기에 불충분할 때 저항과 자기 보존의 천부적 권리를 적절한 제한 하에 공적으로 허용하는 것입니다."[37]

1689년 영국 권리 장전은 영국 정치의 격동적인 시기에 등장했는데, 당시 의회의 동의 없이 통치하려는 국왕의 권한과 가톨릭교도의 역할이 주요 갈등의 원인이었다. 가톨릭교도인 제임스 2세는 명예 혁명으로 폐위되었고, 개신교도 윌리엄 3세와 메리 2세는 권리 장전에 명시된 조건을 수락했다.[39]

이 법안은 제임스 2세가 정부에 반감을 가진 개신교도들의 무장을 해제한 후, 상비군 유지에 대한 의회와의 논쟁에서 국왕이 신하들의 무장을 해제할 수 있는 권한 문제를 해결했다.[39] 이 법안은 제임스 2세에 의해 짓밟힌 "고대 권리"를 회복하기 위해 제정되었다고 명시하고 있지만, 영국 권리 장전이 무기를 소지할 의무에서 발전한 새로운 권리를 창출했다는 주장도 있다.[39] 그러나 2008년 ''District of Columbia v. Heller'' 사건에서 대법원은 영국 권리 장전 통과 당시의 영국 권리는 "분명히 개인의 권리였으며, 민병대 복무와는 전혀 관련이 없었"으며, 국왕에 의해 무장 해제되지 않을 권리였고, 무기를 소지할 새로운 권리를 부여하는 것이 아니라고 언급했다.[40]

1689년 영국 권리 장전에는 "개신교 신민은 자신의 신분에 적합하고 법에 의해 허용되는 무기를 방어를 위해 가질 수 있다"는 내용이 포함되어 있다.[41] 그러나 미래의 의회를 구속하려는 조항도 포함되어 있었지만, 영국 헌법상 어떤 의회도 이후의 의회를 구속할 수 없다.[42]

영국 권리 장전은 의회의 동의 없이 국왕에 의해 무장 해제되지 않을 개신교 시민의 권리를 주장하고 이전 국왕이 불법적으로 제거했던 개신교도들의 권리를 회복하는 것임을 분명히 했다.[41]

영국 권리 장전과 기존 권리를 성문화하고 새로운 권리를 창설하지 않는 미국 수정 헌법 제2조 사이의 역사적 연관성은 미국 대법원에 의해 인정되었다.

영국 권리 장전은 무기가 "법에 의해 허용되어야" 한다는 조항을 포함한다.[43] 이는 법안 통과 전후에 마찬가지였으며, 사냥을 위한 총기 소유에 대한 이전의 제한을 무효화하지는 않았지만, 의회가 이전의 법령을 명시적으로 또는 묵시적으로 폐지할 권한을 받았다.[43]

1688-89년의 사건이 실제로 얼마나 혁명적이었는지에 대해 의견 차이가 있으며, 영국 권리 장전의 조항이 새로운 법을 대표하는 것이 아니라 기존의 권리를 명시한 것이라고 지적하는 의견도 있다.[44] 영국 권리 장전 전후에 정부는 왕국의 평화를 위험하다고 간주하는 모든 개인 또는 계층의 무장을 항상 해제할 수 있었다.[45] 1765년, 윌리엄 블랙스톤 경은 18세기의 영국에서 무기를 소지할 권리를 권리 장전에 "선언된" 신민의 보조적 권리로 설명하는 ''영국 법 주석''을 저술했다.[37]

수정 헌법 제2조의 작성자들이 영국 권리 장전의 영향을 크게 받았다는 데는 의심의 여지가 없다. 자기 방어를 위해 무기를 소지할 필요성은 옛날부터 전 세계의 사람들이 자신과 다른 사람들을 보호하기 위해 무장을 해왔고, 조직화된 국가가 나타나기 시작하면서 이러한 배열은 국가의 보호로 확장되었다.[49]

3. 2. 미국 독립 혁명 전후의 상황

영미법에 부분적으로 기초하고 권리장전 (영국)에 영향을 받은 이 수정헌법은, 윌리엄 블랙스톤에 의해 "자기 방어의 자연적 권리를 지지하고 억압에 저항하며 국가의 방어와 조화하도록 하기 위한 시민적 의무"로 묘사되었다.[57] 제임스 먼로존 애덤스는 헌법 비준에 찬성하였고, 가장 영향력 있는 법 제정자는 제임스 매디슨이었다.

잉글랜드의 찰스 1세는 파괴적, 침략적, 유해하거나 귀찮게 하는 세력으로부터의 특별 방위 및 안전을 위해 무기 사용을 허가했다.[58] 초기 미국인들은 찰스 1세가 염두에 두었던 용도 외에도 무기를 폭정 정부로부터의 보호,[65] 노예 반란을 포함한 반란 진압,[66][67][68] 자연적인 자위권의 용이함[70] 등 다른 용도로 사용했다. 어떤 고려 사항이 가장 중요하게 여겨져 제2차 수정 헌법에 표현되었는지는 논쟁의 대상이지만, 초기 주 헌법에는 이러한 목적 중 일부가 명시적으로 언급되었다. 예를 들어, 1776년 펜실베이니아 헌법은 "국민은 자신과 국가를 방어하기 위해 무기를 소지할 권리를 가진다"고 주장했다.[71]

1760년대 혁명 이전 기간 동안, 기존 식민지 민병대는 영국 통치에 충성하는 사람들을 포함하여 식민지 주민으로 구성되었다. 영국 통치에 대한 반항과 반대가 발전하면서, 영국으로부터 독립을 선호하는 애국자들 사이에서 민병대의 왕당파에 대한 불신이 널리 퍼졌다. 일부 애국자들은 왕당파를 배제한 자체 민병대를 만들고 독립적인 무기고를 확보하려 했으며, 이에 대응하여 영국 의회는 미국 식민지에 대한 총기, 부품 및 탄약 금수 조치를 제정했다.[72] 조지 3세 국왕은 1760년대와 1770년대에 가장 반항적인 지역에 있는 개인들의 무장을 해제하기 시작했다.[73]

미국 독립 전쟁 초기에 식민지 애국자 민병대 무기고를 무장 해제하려는 영국과 왕당파의 노력은 애국자 식민지 주민들이 권리 장전, 권리 장전의 블랙스톤 요약, 자체 민병대 법률 및 자위권에 대한 일반법을 인용하여 항의하는 결과를 낳았다.[74] 패트릭 J. 찰스는 애국자들의 유사한 무장 해제를 인용하고 블랙스톤에 대한 학자들의 해석에 이의를 제기한다.[75] 식민지 주민의 무기 소지 및 압제에 대한 반란 권리는 1769년 혁명 전 신문 사설에서 타운젠드 법에 대한 식민지 반대에 대한 왕실의 탄압에 반대하며 주장되었다.[74][76]

미국 독립 혁명을 승리하게 한 군대는 대륙 회의에 의해 창설된 정규 대륙군, 프랑스 정규군 및 해군과 다양한 주 및 지역 민병대로 구성되었다. 영국군은 정규 영국 육군, 왕당파 민병대 및 헤센 용병 용병의 혼합으로 구성되었다. 혁명 이후 미국은 연합 규약에 의해 통치되었는데, 연방주의자들은 군사적 약점을 초래했다고 주장하며 정규군이 80명으로 축소되었다고 주장했다.[77] 그들은 셰이 반란으로 알려진 서부 매사추세츠에서 발생한 무장 조세 반란에 대해 효과적인 연방 군사적 탄압이 없었던 것을 잘못된 것으로 간주했다.[78] 반연방주의는 제한된 정부의 편을 들었고 반군에게 동정심을 느꼈다. 미국 헌법 제정 회의는 1787년에 의회에 무제한 규모의 정규 육군과 해군을 소집하고 지원할 독점적 권한을 부여할 것을 제안했다.[79][80] 반연방주의는 주에서 연방 정부로의 권력 이동에 반대했지만, 헌법 채택이 유력해지면서 연방 권력에 대한 일부 제한을 가하는 권리 장전을 제정하는 방향으로 전략을 전환했다.[81]

현대 학자 토마스 B. 맥아피와 마이클 J. 퀸란은 제임스 매디슨이 "제2차 수정 헌법을 초안할 때 무기를 소지하고 휴대할 권리를 발명한 것이 아니라, 이 권리는 일반법과 초기 주 헌법 모두에 이미 존재했다"고 말했다.[82] 역사가 잭 래코브는 매디슨이 제2차 수정 헌법을 제정하려는 의도는 민병대가 무장 해제되지 않을 것이라는 점을 온건한 반연방주의자들에게 확신을 주기 위한 것이었다고 시사한다.[83]

총기 규제 논쟁의 한 측면은 총기 규제 법률과 부당한 정부에 반란을 일으킬 권리 간의 갈등이다. 블랙스톤은 그의 ''주석서''에서 이 반란의 권리를 저항과 자기 보존의 자연권으로 언급했으며, 이는 최후의 수단으로만 사용되어야 한다고 했다.[37] 일부는 권리 장전의 제정자들이 정치 권력뿐만 아니라 국민, 주 및 국가 간의 군사 권력의 균형을 맞추려고 했다고 믿는다.[84] 이는 알렉산더 해밀턴이 1788년에 발표한 "민병대에 관하여" 에세이에서 설명한 내용과 같다.[84][105]

주의 방어가 필요할 때마다 훌륭하게 훈련된 민병대, 즉시 현장에 투입할 준비가 된 민병대를 갖는 것이 가능하다. 이것은 군사 시설에 대한 요구를 줄일 뿐만 아니라, 상황이 어떤 시점에 정부가 어떤 규모의 군대를 구성해야 할 경우, 훈련과 무기 사용에 있어 거의 또는 전혀 열등하지 않은 시민들로 구성된 대규모 단체가 자신의 권리와 동료 시민의 권리를 방어할 준비가 되어 있는 한 그 군대는 국민의 자유에 위협이 될 수 없다. 이것은 저에게 상비군을 위해 고안될 수 있는 유일한 대안이며, 상비군이 존재해야 하는 경우 이에 대한 최상의 보안 장치로 보입니다.}}

1789년에는 반연방주의자가 설명한 정부의 폭정으로부터 "국민"이 싸우는 문제, 또는 연방주의자가 설명한 "국민"의 중우 정치 위험에 대한 논쟁이 진행되었으며, 이는 점점 더 폭력적인 프랑스 혁명과 관련되었다.[85] 헌법 비준에 대한 논쟁 동안 광범위하게 퍼진 두려움은 연방 정부가 주를 군사적으로 장악할 가능성이 있다는 것이었으며, 이는 의회가 시민의 무장을 금지하는 법률을 통과시키는 경우에 발생할 수 있다.[74] 헌법 제1조 제8항에 의해 민병대를 무장할 권한이 주에서 연방 정부로 이양되었을 때 주가 시민을 무장할 권한을 잃었다고 주장해 왔지만, 무장을 할 개인의 권리는 1792년 민병대 법과 1795년의 유사한 법에 의해 유지되고 강화되었다.[86][87]

최근에는 일부 사람들이 제2차 수정 헌법의 반란 이론이라고 불리는 것을 발전시켰으며, 이는 부당하다고 생각하는 정부에 대해 무기를 드는 것은 모든 시민의 권리라고 본다. 이러한 해석은 미국 전국 총기 협회 (NRA)와 같은 단체와 일부 선출직 공무원을 포함한 다양한 개인에 의해 표명되었다.[88][89] 그러나 제이미 라스킨 미국 하원 의원은 헌법 법률이나 학문적 연구에서 이러한 견해의 근거는 없다고 주장했다.[90]

'1776년 5월 10일 이후 채택된 최초의 주 헌법 내 관련 조항 및 절.'


3. 3. 노예제 유지와의 연관성

영미법과 권리장전 (영국)에 영향을 받은 수정헌법 제2조는 윌리엄 블랙스톤에 의해 자기 방어와 국가 방어를 위한 시민의 권리이자 의무로 묘사되었다.[128] 제임스 먼로존 애덤스는 헌법 비준에 찬성했고, 제임스 매디슨이 법 제정에 큰 영향을 주었다.

칼 T. 보거스 박사는 수정 헌법 제2조가 남부 주들이 민병대를 유지하여 노예 제도를 유지하기 위해 작성되었다고 주장한다.[127][128] 그는 제임스 매디슨의 저술을 분석하며, 1788년 패트릭 헨리가 노예 반란 시 주 정부가 아닌 의회만이 민병대를 소집할 수 있다는 점을 우려했다고 설명한다.[127][128] 보거스는 매디슨이 노예 소유주들의 우려를 해소하고, 연방 정부가 민병대를 무장 해제하지 않을 것이라는 점을 보장하기 위해 수정 헌법 제2조를 작성했다고 주장한다.[127]

그러나 법률 역사학자 폴 핀켈만은 이 주장에 대해 회의적인 입장을 보인다.[69] 헨리와 조지 메이슨은 매디슨의 정치적 적이었고, 권리장전 작성 당시 의회에 없었으며, 헨리는 헌법과 수정 헌법 제2조 비준에 반대했다는 점을 지적한다.[69]

18세에서 45세 사이의 남부 백인 남성은 노예 순찰대에 복무해야 했다.[129] 1755년과 1757년 조지아 법률은 순찰대가 매달 모든 농장을 검사하고, '모든 흑인 가옥'을 수색하여 무기를 찾고, 농장 밖에서 발견된 노예를 체포하여 채찍질하도록 승인했다.[130][131] 핀켈만은 수정안이 주의 민병대 유지 권리를 보호하기 위해 작성되었지만, 노예 순찰대의 근거가 된 주의 경찰 권한과는 관련이 없다고 주장한다.[69]

노예 소유주들은 노예들이 군 복무를 통해 해방될 수 있다는 것과 노예 반란을 두려워했다.[132][133] 아이티 혁명이 진행 중이었기 때문에, 무기 소지 권리는 민병대 가입과 연결되었고, 남부에서는 백인만이 민병대에 가입할 수 있었다.[133] 1776년 토머스 제퍼슨이 제안한 버지니아 헌법 초안은 자유 흑인의 무기 소지를 금지하지 않았기 때문에 거부되었다.[134]

4. 조문의 해석

총기 규제에 대한 최근의 미국 사회 내의 활발한 논의와 입법 활동에도 불구하고 수정조항 제2조에 의하여 보호받는 권리가 구체적으로 어떠한 것인가에 대해서는 명시적인 사법적 판단이 이루어진 적이 없다. 제2조 해석과 관련하여 대립하는 두 종류의 학설이 존재하는데 "개인의 권리"이론 과 "주의 권리"이론이라고 부를 수 있다.

"개인의 권리" 이론은 수정조항 제2조에 의하여 보호받는 권리는 개인이 총기를 소유, 점유, 운반할 수 있는 권리라고 주장한다. 반면, "주의 권리" 이론은 수정조항 제2조의 목적은 주가 공식적으로 조직된 민병대를 보유할 수 있는 권한을 보호하는 것이라고 주장한다. 어느 이론이든 이 조항은 연방정부만을 제약하고 주 정부나 개인들에게는 그 효력이 미치지 않는다고 해석한다.

미 연방대법원은 United States v. Miller, 307 U.S. 174 (1939)사건[332]에서 다음과 같이 판시하였다.

{{인용문|총열의 길이가 18인치 미만인 총의 소유나 사용이 현재 시점에서 잘 규율된 민병대의 군사력 유지나 향상과 어떠한 관련이 있다는 증거가 없는 상황에서 우리는 수정조항 제2조가 그러한 무기를 소장하고 휴대할 수 있는 권리를 보장한다고 말할 수 없다. 물론 이러한 무기가 통상적인 군용 무기의 일부이거나 이러한 무기의 사용이 방위에 도움이 될 수 있다는 점은 사법적 판단의 범위 밖이다.…그러한 군사력을 유지 또는 향상하도록 하기 위한 목적으로 수정조항 제2조가 제정되었다. 제2조는 그러한 목적을 염두에 두고 해석되어야 한다.

In the absence of any evidence tending to show that possession or use of a "shotgun having a barrel of less than eighteen inches in length" at this time has some reasonable relationship to the preservation or efficiency of a well regulated militia, we cannot say that the Second Amendment guarantees the right to keep and bear such an instrument. Certainly it is not within judicial notice that this weapon is any part of the ordinary military equipment, or that its use could contribute to the common defense.…With obvious purpose to assure the continuation and render possible the effectiveness of such forces, the declaration and guarantee of the Second Amendment were made. It must be interpreted and applied with that end.}}

미 연방대법원은 민병대의 유지에 필요한 한도 내에서 "개인의 권리" 이론을 지지한 것으로 해석된다.[333]

본 조항(미국 수정 헌법 제2조)이 미국에서 총기 규제 반대의 근거가 되고 있으며, 조항 내의 무장 권리를 "민병대를 조직하기 위한 주의 권리이며 개인이 총기 소지를 인정한 것은 아니다"라고 보는 집단적 권리와 "개인이 무장할 권리"라고 보는 개인적 권리라는 두 가지 해석이 존재한다.

2008년 7월, 헬러 사건에서 미국 연방 대법원은 "개인적 권리"의 해석을 채택하는 판결을 내렸다. 동시에, 이 권리는 무한한 힘을 갖는 것이 아니라 "중죄인이나 정신 장애인의 총기 소지" 금지 및 "위험하고 비정상적인 무기의 휴대" 제한 등, 금지의 존재를 방해하지 않는다는 점도 함께 언급했다.

권리 장전(미국 수정 헌법 제1조~제10조)은 1787년에 제정된 헌법에는 국가의 통치 형태와 방법만 규정되어 있고, 국가 및 국가 권력과 시민의 관계에 관한 규정이 없다는 문제 제기에 따라 1789년에 제정되었으며, 수정 제1조~제10조의 규정은 국가 및 국가 권력에 대한 시민의 권리라고 생각된다.

4. 1. 미국 연방 대법원의 판례

미국 연방 대법원은 총기 규제와 관련된 여러 판례를 통해 미국 수정 헌법 제2조에 대한 해석을 발전시켜 왔다. 초기에는 수정 헌법 제2조를 주로 주의 권리 또는 집단적 권리 관점에서 해석하는 경향이 있었으나, 최근에는 개인의 권리를 보호하는 방향으로 변화하고 있다.

1939년 ''United States v. Miller'' 판결에서 대법원은 총열 길이가 18인치 미만인 산탄총 소지가 민병대 유지와 관련이 없다는 점을 들어 수정 헌법 제2조의 보호 대상이 아니라고 판시했다.[332] 이 판결은 민병대 유지에 필요한 무기 소지 권리를 중심으로 해석한 것으로 평가된다.[333]

재건 시대의 사건인 ''미국 대 크루익생크''(United States v. Cruikshank, )에서 법원은 수정 헌법 제2조가 연방 정부의 권한을 제한할 뿐, 사인(私人)의 행위를 규제하지 않는다고 판결했다.[219]

《프레서 대 일리노이》(''Presser v. Illinois'', ) 사건에서 대법원은 ''크루익생크'' 판례를 재확인하며, 주(州)가 자체 민병대를 규제할 권한이 있음을 인정했다.[72]

'''밀러 대 텍사스'''()에서 대법원은 수정 헌법 제2조가 주 법률에는 적용되지 않는다고 판결했다.[72]

《로버트슨 대 볼드윈》, 사건에서 대법원은 은닉 무기 휴대를 금지하는 법률이 수정 헌법 제2조에 위배되지 않는다고 판결했다.

'''미국 대 슈위머'''()에서 연방 대법원은 미국 헌법이 시민에게 "필요할 때마다 모든 적에 맞서 우리 정부를 방어해야 할 의무는 헌법의 기본 원칙이다"[227]라고 선언하고, "공동 방어는 국민이 헌법을 제정하고 확립한 목적 중 하나였다."[227]라고 선언함으로써 간접적으로 수정 헌법 제2조를 인용했다.

''미국 대 밀러''(United States v. Miller), 사건에서, 미국 연방 대법원은 미등록된 타이틀 II 무기의 주간 이동을 금지하는 국가 총기 규제법(National Firearms Act)에 대한 미국 수정 헌법 제2조 위헌 주장을 기각했다.[228]

2008년 ''District of Columbia v. Heller'' 판결에서 대법원은 수정 헌법 제2조가 민병대 복무와 관계없이 개인이 가정에서 자위와 같은 합법적 목적으로 무기를 소지하고 사용할 권리를 보호한다고 판시했다.[234][235] 이는 수정 헌법 제2조를 개인의 권리로 해석한 획기적인 판결로 평가받는다.[246][247][248][249][250] 그러나 이 권리는 무제한적인 것이 아니며, 중범죄자나 정신 질환자의 총기 소지 금지, 위험한 무기 휴대 제한 등은 허용될 수 있다고 밝혔다.[251][252]

''Heller'' 판결을 내린 대법관들


2010년 ''McDonald v. Chicago'' 판결에서는 수정 헌법 제2조가 수정 헌법 제14조를 통해 주 정부에도 적용된다고 판결하여, 개인의 무기 소지 권리가 연방 정부뿐만 아니라 주 정부에 의해서도 제한될 수 없음을 명확히 했다.[22]

2016년 3월 21일, 판결 불복 결정에서 법원은 여성이 자기 방어를 위해 전기 충격기를 소지한 것에 대한 유죄 판결을 유지한 매사추세츠 주 대법원의 결정을 파기했다.[273]

미국 연방 대법원은 2019년 12월 2일, '뉴욕 주 소총 및 권총 협회 주식회사 대 뉴욕시, 뉴욕' 사건을 심리하여, 적절하게 비어 있고 용기에 잠겨 있더라도, 도시 경계 내에서 도시 경계 밖으로 총기 운송을 금지하는 뉴욕시 조례가 위헌인지 여부를 결정하고자 했다.[276]

뉴욕 법은 허가 없이 은닉된 상태로 총기를 소지하는 것을 금지한다. 2022년 6월 23일, 연방 대법원은 6대 3 판결로 뉴욕 법이 "재량 발급" 규정으로 위헌이며, 총기의 공공 소지가 수정 헌법 제2조에 따라 보호되는 권리임을 확인했다.[279]

''Heller'' 판결 이후, 미국 연방 항소 법원들은 총기 규제 법률에 대한 수많은 미국 수정 헌법 제2조 관련 소송에 대해 판결을 내렸다.[283][284]

이처럼 미국 연방 대법원의 판례는 수정 헌법 제2조에 대한 해석을 지속적으로 발전시켜 왔으며, 최근에는 개인의 무기 소지 권리를 보다 폭넓게 인정하는 추세를 보이고 있다.

5. 1975년 총기 규제법

1976년 6월 29일 워싱턴 D.C 의회에서 통과된 법으로 거주자들이 권총, 자동 총기 또는 대용량 반자동 총기의 소유를 금지하며 미등록된 총기 소유를 금하는 내용을 담고 있다.

6. 학계의 논평

1788년 5월, 익명의 저자 "연방 농부(Federal Farmer)" (그의 실제 정체는 리처드 헨리 리 또는 멜란톤 스미스로 추정됨)는 "민병대"의 정의에 관해 ''연방 농부의 추가 서신 #169'' 또는 ''서신 XVIII''에 다음과 같이 썼다.

1788년 6월, 조지 메이슨은 버지니아 비준 회의에서 "민병대"에 관해 다음과 같이 연설했다:

1792년, 텐치 콕스는 수정 헌법 제2조에 대한 해설에서 다음과 같이 언급했다:[153][154][176]

주요 헌법 이론가 중 두 번째 수정 헌법에 대한 최초의 출판된 해설은 세인트 조지 터커에 의해 이루어졌다. 그는 1803년에 출판된 초기 미국 변호사들을 위한 중요한 법적 참고 자료인 윌리엄 블랙스톤 경의 5권짜리 판 ''영국 법 주석''에 주석을 달았다.[155][156] 터커는 다음과 같이 적었다:[157]

... 자위의 권리는 자연의 첫 번째 법이다. 대부분의 정부에서 통치자들은 이 권리를 가능한 좁은 범위 내로 제한하려고 노력해 왔다. 상비군이 유지되고, 국민이 어떤 핑계로든 무기를 소지하고 휴대할 권리가 금지되는 곳에서는 자유가 이미 소멸되지 않았다면 파멸 직전에 있다. 영국에서는 일반적으로 사냥감을 보존한다는 그럴듯한 핑계로 국민이 무장 해제되었다. 이는 매우 다른 목적을 위해 계산되었지만, 그 가면 아래 어떤 조치든 지지하도록 토지 귀족을 끌어들이는 데 실패하지 않는 유혹이다. 사실, 그들의 권리 장전은 언뜻 보면 이러한 정책에 반대하는 것처럼 보인다. 그러나 무기를 휴대할 권리는 개신교도에게만 제한되며, 그들의 신분과 지위에 적합한 단어들은 사냥감을 파괴하기 위한 총이나 다른 도구를 사냥할 자격이 없는 농부, 하급 상인 또는 다른 사람에게 금지하는 것을 허가하는 것으로 해석되었다. 그래서 500명 중 한 명도 처벌을 받지 않고 집에서 총을 소지할 수 없다.}}

''주석''의 각주 40과 41에서 터커는 두 번째 수정 헌법에 따른 무기 휴대 권리가 영국 법의 일부였던 제한을 받지 않는다고 언급했다. "국민이 무기를 소지하고 휴대할 권리는 침해받지 아니한다. 미국 수정 헌법 제4조, 그리고 영국 정부의 경우와 같이 그들의 신분이나 지위에 대한 어떠한 자격도 없이" 그리고 "영국 법전에서 산림 및 사냥 법을 조사하는 사람은 무기를 소지할 권리가 영국 국민으로부터 효과적으로 박탈되었다는 것을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블랙스톤 자신도 영국 사냥 법에 대해 언급했다. 제2권, p. 412, "대중 봉기와 정부에 대한 저항을 방지하기 위해 대다수의 국민을 무장 해제하는 것은 산림 및 사냥 법 제정자들이 자주 언급하지만 공개적으로 밝히지 않는 이유이다."[155] 블랙스톤은 범죄에 대한 보통법에 대한 자신의 논문의 별도 섹션에서 자기 방어의 권리에 대해 논의했다. 해당 섹션에 대한 터커의 주석은 두 번째 수정 헌법에 대해 언급하지 않았지만 영국인 법학자, 예를 들어 호킨스의 표준 저작을 인용했다.

더 나아가 터커는 영국 권리 장전이 매우 부유한 사람들에게만 총기 소유를 제한하여 국민을 효과적으로 무장 해제한 것을 비판했으며, 미국인들이 "자유의 가장 확실한 담보로서 무기를 소지하고 휴대할 권리를 결코 잊지 않기를" 바란다고 표현했다.[155]

터커의 해설은 1825년, 윌리엄 로울의 획기적인 저서 《미국 헌법의 관점》(''A View of the Constitution of the United States of America'')에서 이어졌다. 터커와 마찬가지로 로울은 영국의 "사냥감 보호를 위한 자의적인 법"을 비난하며, 그 나라를 "자유를 그렇게 자랑"하면서도 "오직 개신교 신자에게만" "자신들의 방어를 위해 무기를 소지할 권리"를 부여하고 "[국민의] 아주 적은 비율"에만 그 권리를 제한하는 나라로 묘사했다.[158] 이와 대조적으로 로울은 제2차 수정 헌법의 두 번째 조항을, 그가 부수 조항이라고 부르는, 정부 권력의 변덕스러운 남용에 대한 일반적인 금지라고 특징지었다.

로울은 제2차 수정 헌법 전반에 대해 다음과 같이 기술했다.[159][160][161]

권리 장전의 통합 개념이 법원에서 공식적으로 인정되기 오래전, 또는 의회가 수정 헌법 제14조를 초안하기 전부터 로울은 시민들이 주 또는 연방 정부가 그들을 무장 해제하려 할 경우 제2차 수정 헌법에 호소할 수 있다고 주장했다. 그러나 그는 "이러한 권리[무기를 소지할 권리]가 공공의 평화를 해치는 방식으로 남용되어서는 안 된다"고 경고하며, 에드워드 코크를 인용하여 다음과 같이 언급했다. "불법적인 목적으로 무기를 소지한 사람들의 집합은 기소 가능한 범죄이며, 심지어 한 개인이 무기를 휴대하는 행위가 불법적으로 사용할 의도를 갖게 할 만한 상황을 동반할 경우, 그에게 평화를 보장하도록 요구할 충분한 이유가 될 것이다."[158]

조셉 스토리는 그의 영향력 있는 저서인 ''헌법 주석''(Commentaries on the Constitution)[162]에서 수정 헌법 제2조에 대한 정통적인 견해를 분명히 밝혔으며, 그는 이를 수정 헌법의 명확한 의미로 간주했다:[163][164]

스토리는 민병대를 외적, 국내 반란 및 통치자의 횡포로부터 "자유 국가의 자연스러운 방어"라고 묘사했다. 이 책은 민병대를 횡포와 자의적인 권력 사용에 대한 "도덕적 견제"로 여기는 동시에, 수정 헌법 제2조의 보호를 약화시킬 수 있는, 이러한 조직적인 민병대를 유지하는 것에 대한 미국 국민들의 무관심이 커지고 있음에 대해 우려를 표명했다.[164]

노예 폐지론자 라이샌더 스푸너는 권리 장전에 대해 언급하며, 모든 권리 장전의 목적은 정부에 맞서 개인의 권리를 주장하는 것이며, 무기를 소지할 권리를 보장하는 수정 헌법 제2조는 정부의 억압에 저항할 권리를 지지하는 것이라고 진술했다. 정부의 폭정에 맞서는 유일한 안전 장치는 불의에 대한 강제적 저항에 있으며, 불의는 강하게 저항하지 않으면 반드시 실행될 것이기 때문이다.[165] 스푸너의 이론은 노예 무장이 도덕적으로 정당할 뿐만 아니라 수정 헌법 제2조와 완전히 일치한다고 믿었던 존 브라운과 다른 급진적인 노예 폐지론자들에게 지적 기반을 제공했다.[166] 라이샌더 스푸너는 이 권리와 수정 헌법 제2조 사이의 명확한 연관성을 언급하며 "저항권"은 배심에 의한 재판을 받을 권리와 수정 헌법 제2조에 의해 보호된다고 언급했다.[167]

제안된 수정 헌법 제14조에 대한 의회 토론은 남부가 새로 해방된 노예들에게 해를 끼치는 행위에 집중되었으며, 여기에는 이전 노예들의 무장 해제도 포함되었다.[168]

1867년, 티모시 페라 판사는 자신의 저서 『미국 헌법 핸드북』을 출판했는데, 이는 제14차 수정 헌법이 "주 의회에서 채택되는 과정" 중에 작성되었다:[176][169]

19세기 가장 널리 읽힌 헌법 학자 중 한 명인 토머스 M. 쿨리 판사는 이 수정 조항에 대해 광범위하게 저술했으며,[170][171] 그는 1880년에 제2차 수정 헌법이 어떻게 "국민의 권리"를 보호하는지 설명했다.[172]

20세기 권총 모음


20세기 후반까지, 수정 헌법 제2조에 대한 학문적인 논평은 거의 없었다.[173] 20세기 후반에 이르러, 수정 헌법 제2조가 개인의 권리를 보호하는지 집단의 권리를 보호하는지에 대한 상당한 논쟁이 있었다.[174] 이 논쟁은 서문("자유로운 국가의 안보를 위해 잘 규율된 민병대가 필요하다")이 수정 헌법의 유일한 목적을 선언하는지, 아니면 단지 본문 조항("무기를 소지하고 휴대할 인민의 권리는 침해받지 않는다")을 소개하기 위한 목적을 발표하는지에 초점을 맞추었다. 학자들은 서문 조항을 해석하는 세 가지 경쟁적인 이론 모델을 제시했다.[175]

첫 번째 모델은 "주(州)의 권리" 또는 "집단적 권리" 모델로 알려졌으며, 수정 헌법 제2조는 개인에게 적용되지 않고, 각 주가 민병대를 무장시킬 권리를 인정한다는 입장이었다. 이 접근법에 따르면, 시민들은 "무기를 소지하거나 휴대할 권리가 없으며, 주가 국민 방위군을 가질 집단적 권리를 갖는다."[176] 집단적 권리 모델의 지지자들은 수정 헌법 제2조가 개인의 총기 소지 권리를 보장하기보다는 연방 정부가 주의 민병대의 무장을 해제하는 것을 막기 위해 작성되었다고 주장했다.[177] 2001년 이전에, 수정 헌법 제2조를 해석한 모든 순회 법원 판결은 "집단적 권리" 모델을 지지했다.[178][179] 그러나 제5 순회 법원의 2001년 판결 ''United States v. Emerson''을 시작으로, 일부 순회 법원은 수정 헌법 제2조가 무기를 소지할 개인의 권리를 보호한다는 것을 인정했다.[180][181]

두 번째 모델은 "정교한 집단적 권리 모델"로 알려졌으며, 수정 헌법 제2조가 제한적인 개인의 권리를 일부 인정한다는 입장이었다. 그러나 이 개인의 권리는 기능적이고 조직적인 주 민병대의 활동적인 구성원에 의해서만 행사될 수 있었다.[182][177] 일부 학자들은 "정교한 집단적 권리 모델"이 실제로 "집단적 권리 모델"과 기능적으로 동일하다고 주장했다.[183] 다른 논평가들은 ''Emerson'' 이전에는 다섯 개의 순회 법원이 "정교한 집단적 권리 모델"을 명시적으로 지지했다고 언급했다.[184]

세 번째 모델은 "표준 모델"로 알려졌으며, 수정 헌법 제2조가 개인이 무기를 소지하고 휴대할 개인적인 권리를 인정한다는 입장이었다.[176] 이 모델의 지지자들은 "비록 첫 번째 조항이 수정 헌법의 일반적인 목적을 설명할 수 있지만, 두 번째 조항이 더 중요하며, 따라서 수정 헌법은 무기를 소지하고 휴대할 '인민의' 개인적인 권리를 부여한다"고 주장했다.[185] 또한, 이 모델을 지지하는 학자들은 "수정 헌법의 전문에 언급된 건국 시대의 민병대가 없다는 것은 수정 헌법을 '사문화'시키는 것이 아니다. 왜냐하면 전문은 민병대를 보호하는 '철학적 선언'이며, 수정 헌법이 제정된 여러 '시민적 목적' 중 하나일 뿐이기 때문이다"라고 주장했다.[186]

두 집단적 권리 모델 모두에서, 시작 어구는 주요 조항의 전제 조건으로 간주되었다.[187] 이러한 해석은 당시 흔했던 문법 구조[188] 였으며, 이 문법은 수정 헌법 제2조가 민병대 의무에 필요한 범위 내에서 총기에 대한 집단적 권리를 보호한다고 규정한다고 주장했다.[189] 그러나 표준 모델에 따르면, 시작 어구는 본문 조항에 대한 서문 또는 보충적 의미를 갖는다고 여겨졌다. 시작 어구는 배타적이지 않은 예시수정 헌법의 여러 이유 중 하나로 의도되었다.[46] 이 해석은 수정 헌법 제2조가 수정된 개인의 권리를 보호한다는 입장과 일치한다.[190]

집단적 권리 대 개인의 권리에 대한 문제는 제5 순회 법원의 ''United States v. Emerson'' (2001) 판결과 대법원의 ''District of Columbia v. Heller'' (2008) 및 ''McDonald v. Chicago'' (2010) 판결을 시작으로 개인의 권리 모델에 유리하게 점차 해결되었다. ''Heller''에서 대법원은 수정 헌법 제2조가 개인의 권리를 보호한다고 판결함으로써 남아있는 모든 순회 법원 간의 의견 불일치를 해결했다.[191] 수정 헌법 제2조가 전문 조항을 가진 유일한 헌법 수정 조항이지만, 이러한 언어적 구조는 18세기 후반에 다른 곳에서도 널리 사용되었다.[192]

리처드 닉슨 대통령에 의해 미국 대법원 대법원장으로 임명된 보수 공화당원 워렌 버거는 1990년 은퇴 후 다음과 같이 썼다:[193]

... 당시 사람들은 그들에게 제시된 새로운 "괴물" 국가 정부에 대해 불안해했고, 이것은 수정 헌법 제2조의 언어와 목적을 설명하는 데 도움이 된다... 우리는 주 민병대의 필요성이 보장된 "권리"의 전제 조건이었음을 알 수 있다. 즉, 주의 안보를 보호하기 위한 주 군사력을 갖는 것이 "필요하다"고 선언되었다.}}

그리고 1991년에 버거는 다음과 같이 말했다:[194]

... 잘 규율된 민병대가 주의 방위에 필요하다는 점, 그리고 인민의 무기 휴대 권리에 관한 것. 이것은 내가 평생 동안 본 특수 이익 단체에 의한 미국 대중을 상대로 한 가장 큰 사기나는 '사기'라는 단어를 반복한다 중 하나였다.}}

1992년 기고문에서, 6명의 전직 미국 법무 장관은 다음과 같이 썼다:[195]

로버트 스피처의 연구에 따르면 1959년까지 수정 헌법 제2조를 논의한 모든 법학 저널 기사는 "수정 헌법 제2조가 정부가 조직하고 규제하는 민병대에서 시민의 봉사와 관련해서만 시민에게 영향을 미친다"고 언급했다. 1960년에 이르러서야 법학 저널 기사가 총기 소유 권리에 대한 "개인주의적" 견해를 옹호하기 시작했다.[196][197] 이러한 "개인주의적" 총기 소유 권리에 대한 견해의 반대는 수정 헌법이 주가 민병대를 유지할 집단적 권리를 보호하거나 민병대 복무와 관련하여 무기를 소지하고 휴대할 개인의 권리를 보호한다는 "집단적 권리" 이론이다

본 조항(미국 수정 헌법 제2조)이 미국에서 총기 규제 반대의 근거가 되고 있으며, 조항 내의 무장 권리를 "민병대를 조직하기 위한 주의 권리이며 개인이 총기 소지를 인정한 것은 아니다"라고 보는 집단적 권리와 "개인이 무장할 권리"라고 보는 개인적 권리라는 두 가지 해석이 존재한다.

2008년 7월, 헬러 사건에서 미국 연방 대법원은 "개인적 권리"의 해석을 채택하는 판결을 내렸다. 동시에, 이 권리는 무한한 힘을 갖는 것이 아니라 "중죄인이나 정신 장애인의 총기 소지" 금지 및 "위험하고 비정상적인 무기의 휴대" 제한 등, 금지의 존재를 방해하지 않는다는 점도 함께 언급했다.

권리 장전(미국 수정 헌법 제1조~제10조)은 1787년에 제정된 헌법에는 국가의 통치 형태와 방법만 규정되어 있고, 국가 및 국가 권력과 시민의 관계에 관한 규정이 없다는 문제 제기에 따라 1789년에 제정되었으며, 수정 제1조~제10조의 규정은 국가 및 국가 권력에 대한 시민의 권리라고 생각된다.

6. 1. "잘 규율된 민병대"의 의미

미국 수정 헌법 제2조의 "잘 규율된 민병대(well-regulated militia)"라는 구절의 의미는 해석에 따라 논쟁의 여지가 있다. "개인의 권리" 이론은 개인이 총기를 소유, 점유, 운반할 수 있는 권리를 주장하는 반면, "주의 권리" 이론은 주가 공식적으로 조직된 민병대를 보유할 수 있는 권한을 보호하는 것이라고 주장한다.[332] 어느 이론이든 이 조항은 연방정부만을 제약하고 주 정부나 개인에게는 효력이 미치지 않는다고 해석한다.[332]

미 연방대법원은 *United States v. Miller* 사건에서 민병대의 유지에 필요한 한도 내에서 "개인의 권리" 이론을 지지한 것으로 해석된다.[333] 이 판결에서 법원은 총열 길이가 18인치 미만인 총의 소유나 사용이 현재 시점에서 잘 규율된 민병대의 군사력 유지나 향상과 관련이 있다는 증거가 없다고 판시했다.[332]

"잘 규율된 민병대"라는 구절은 앤드루 플레처의 1698년 저서인 『군주제에 관한 담론』에서 처음 사용되었으며,[199] 토머스 제퍼슨은 플레처의 정치적 원칙을 높이 평가했다.[200] "규율된(regulated)"이라는 용어는 "훈련된" 또는 "단련된"을 의미하며,[201] 『헬러』에서 미국 대법원은 "[잘 규율된]이라는 형용사는 적절한 규율과 훈련의 부과 이상을 의미하지 않는다."라고 판시했다.[202]

알렉산더 해밀턴은 연방주의자 29번에서 민병대의 "조직", "규율", "무장", "훈련"에 대해 언급하며, 잘 규율된 민병대가 자유 국가의 가장 자연스러운 방어 수단이라고 주장했다.[105] 그는 국민 전체가 적절하게 무장하고 장비를 갖추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105]

앤터닌 스캘리아 대법관은 헬러 사건에서 법원 의견을 통해 Nunn v. State 판결을 인용하며, 제2차 수정 헌법이 자기 방어의 자연권을 보호하는 것이라고 해석했다.[203] 그는 국민 전체가 모든 종류의 무기를 소지하고 휴대할 권리가 침해받지 않아야 한다고 주장했다.[203]

반면, 스티븐스 대법관은 반대 의견에서 수정 헌법이 잘 규율된 민병대에서 복무하는 것과 함께 국민에게 무기를 사용하고 소지할 권리를 보장하는 것으로 해석하는 것이 자연스럽다고 주장했다.[204]

결론적으로, 미국 수정 헌법 제2조는 총기 규제 반대의 근거가 되며, 조항 내 무장 권리에 대한 두 가지 주요 해석, 즉 "집단적 권리"와 "개인적 권리"가 존재한다. 2008년 미국 연방 대법원은 헬러 사건에서 "개인적 권리" 해석을 채택했지만, 이 권리가 무한한 것은 아니며 특정 제한이 존재함을 명시했다.

6. 2. "인민의 권리"의 의미

"인민의 권리"는 미국 수정 헌법 제2조의 핵심 용어 중 하나로, 이 권리의 주체가 누구인지에 대한 논쟁은 총기 규제 논쟁의 주요 쟁점이다.[332] 이와 관련하여 "개인의 권리" 이론과 "주의 권리" 이론이 대립한다. "개인의 권리" 이론은 수정 헌법 제2조가 개인이 총기를 소유, 점유, 운반할 수 있는 권리를 보장한다고 주장하는 반면, "주의 권리" 이론은 수정 헌법 제2조의 목적이 주가 공식적으로 조직된 민병대를 보유할 수 있는 권한을 보호하는 것이라고 주장한다.[332]

미국 연방 대법원은 ''United States v. Miller''(1939) 사건에서 민병대 유지에 필요한 범위 내에서 "개인의 권리" 이론을 지지하는 것으로 해석되는 판결을 내렸다.[333] 대법원은 "총열의 길이가 18인치 미만인 총의 소유나 사용이 현재 시점에서 잘 규율된 민병대의 군사력 유지나 향상과 어떠한 관련이 있다는 증거가 없는 상황에서, 수정 헌법 제2조가 그러한 무기를 소장하고 휴대할 수 있는 권리를 보장한다고 말할 수 없다"고 판시했다.[332]

안토닌 스칼리아 대법관은 ''Heller''(2008) 판결에서 다수 의견을 통해 헌법에서 "국민"에게 부여된 "권리"는 개인의 권리를 의미하며, "국민"은 불특정 다수가 아닌 정치 공동체의 모든 구성원을 지칭한다고 밝혔다.[205] 그는 "제2차 수정 헌법을 조직된 민병대에서 '무기를 소지하고 휴대할' 권리만을 보호하는 것으로 해석하는 것은 그 권리 보유자를 '국민'으로 묘사하는 작동 조항과 잘 맞지 않는다"고 지적했다.[205] 또한, 스칼리아는 이 권리의 보유자를 "법을 준수하는 책임감 있는 시민"으로 구체화하며, 이들이 "가정과 집을 방어하기 위해 무기를 사용할 권리"를 가진다고 명시했다.[206]

''United States v. Verdugo-Urquidez''(1990) 판례는 수정 헌법 제4조, 제1조, 제2조에 의해 보호받는 "국민"과 제9조 및 제10조에 권리와 권한이 유보된 "국민"은 국가 공동체의 일부이거나 이 국가와 충분한 연결을 발전시켜 그 공동체의 일부로 간주되는 사람들의 집단을 의미한다고 판시했다.[207]

''Heller'' 판결의 다수 의견은 민병대 보호가 수정 헌법 제2조의 여러 이유 중 하나일 뿐이며, 만약 민병대 보호가 유일한 이유였다면, 수정 헌법은 "민병대가 무기를 소지하고 휴대할 권리"가 아닌 "국민이 무기를 소지하고 휴대할 권리"를 언급했을 것이라고 지적했다.[208][209]

결론적으로, 미국 수정 헌법 제2조의 "인민의 권리"는 개인의 총기 소지 권리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지만, 이 권리는 무제한적인 것이 아니며, "중죄인이나 정신 장애인의 총기 소지" 금지 및 "위험하고 비정상적인 무기의 휴대" 제한 등과 같은 예외가 존재한다.[208]

6. 3. "무기를 소지하고 휴대하다"의 의미

"무기를 소지하고 휴대하다"라는 문구의 의미는 미국 수정 헌법 제2조 해석에 있어 핵심적인 논쟁거리다. 총기 규제에 대한 활발한 논의에도 불구하고, 수정 헌법 제2조가 보장하는 권리의 구체적인 내용에 대한 명확한 사법적 판단은 오랫동안 부재했다.[332] 이와 관련하여 "개인의 권리" 이론과 "주의 권리" 이론이 대립해왔다.

"개인의 권리" 이론은 개인이 총기를 소유, 점유, 운반할 수 있는 권리를 주장하는 반면, "주의 권리" 이론은 주가 공식적으로 조직된 민병대를 보유할 수 있는 권한을 보호하는 것이 수정 헌법 제2조의 목적이라고 주장한다. 두 이론 모두 이 조항이 연방 정부만을 제약하고 주 정부나 개인에게는 효력이 미치지 않는다고 해석한다.

미 연방대법원은 1939년 ''United States v. Miller'' 사건에서 총열 길이가 18인치 미만인 총의 소유나 사용이 민병대의 군사력 유지와 관련이 없다는 점을 들어 수정 헌법 제2조가 그러한 무기를 소지하고 휴대할 권리를 보장하지 않는다고 판시했다.[332] 이 판결은 민병대 유지에 필요한 한도 내에서 "개인의 권리" 이론을 지지한 것으로 해석된다.[333]

2008년 헬러 사건에서 미국 연방 대법원은 "무기를 소지하다(keep and bear arms)"라는 용어가 무기의 군사적 사용만을 의미한다는 견해를 거부했다.[205] 다수 의견은 "무기를 소지하다"의 가장 자연스러운 해석은 "무기를 가지다"이며, "휴대하다(bear)"는 "가지고 다니다(carry)"를 의미한다고 밝혔다. 또한, 18세기와 19세기 초 9개 주 헌법 조항이 시민의 권리를 "자신과 국가를 방어하기 위해 무기를 휴대하다"라고 명시한 점을 들어 "무기를 휴대하다"가 민병대에 국한되지 않음을 강조했다.

반면, 스티븐스 대법관은 반대 의견에서 수정 헌법의 텍스트가 "무기를 소지하고 휴대할 권리"를 주가 조직한 민병대 복무와 관련된 총기 소지 및 사용 권리만으로 제한한다고 주장했다.[210] 만약 제헌자들이 시민의 소지 및 사용을 포함시키고 싶었다면, "자신을 방어하기 위해"와 같은 구절을 추가했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그러나 데니스 배런은 2018년 5월 분석에서 초기 미국 영어 코퍼스 검색 결과 "무기를 휴대하다"라는 구절이 대부분 군사적 맥락에서 사용되었음을 보여주며 다수 의견과 모순된다고 주장했다.[211]

이처럼 "무기를 소지하고 휴대하다"라는 문구에 대한 해석은 여전히 논쟁 중이며, 개인의 권리와 주의 권리, 그리고 군사적 맥락과 시민적 맥락 사이의 다양한 견해가 존재한다. 한 학자는 개인적으로 총기를 제조할 권리가 "무기를 소지하고 휴대할" 권리에 포함된다고 제안하기도 한다.[213]

7. 결론

참조

[1] 웹사이트 US Senate Annotated Constitution https://www.senate.g[...] 2014-01-30
[2] 서적 American Government: Political Development and Institutional Change https://books.google[...] Routledge 2013
[3] 웹사이트 After Heller: What Now for the Second Amendment http://heinonline.or[...] Santa Clara Law Review 2014-01-30
[4] 뉴스 Justices, Ruling 5–4, Endorse Personal Right to Own Gun https://www.nytimes.[...] 2017-02-12
[5] 뉴스 Justices Reject D.C. Ban On Handgun Ownership http://www.washingto[...] 2019-03-22
[6] 뉴스 Split Decisions: Cases That Have Divided the Supreme Court in the 2007-08 Term https://online.wsj.c[...]
[7] 웹사이트 Court: A constitutional right to a gun https://www.scotusbl[...] 2019-03-22
[8] 웹사이트 Quick Reference to Federal Firearms Laws https://www.justice.[...] 2018-08-18
[9] 서적 Constitutional Law for a Changing America: Rights, Liberties and Justice https://books.google[...] CQ Press 2012
[10] 뉴스 Justices Extend Firearm Rights in 5-to-4 Ruling https://www.nytimes.[...] 2020-10-31
[11] 웹사이트 Law Review: The Fourteenth Amendment and Incorporation https://www.american[...] American Bar Association 2018-05-23
[12] 웹사이트 Blackstone's Commentaries on the Laws of England – Book the First – Chapter the First: Of the Absolute Rights of Individuals, p. 139 http://avalon.law.ya[...] Yale 2013-08-01
[13] 웹사이트 United States of America v. Timothy Joe Emerson – The Ratification Debates http://www.law.umkc.[...] Law.umkc.edu 2010-08-30
[14] 간행물 The Federalist 1864
[15] 웹사이트 United States v. Cruikshank 92 U.S. 542 (1875) http://supreme.justi[...] 2013-09-05
[16] 웹사이트 United States v. Miller, 307 U.S. 174 (1939) https://www.law.corn[...] Cornell University Law School 2013-09-05
[17] 웹사이트 District of Columbia v. Heller: The Supreme Court and the Second Amendment http://assets.opencr[...] 2013-06-27
[18] 뉴스 Justices, Ruling 5–4, Endorse Personal Right to Own Gun https://www.nytimes.[...] 2018-05-23
[19] 웹사이트 Expert Brief: How the NRA Rewrote the Second Amendment https://www.brennanc[...] Brennan Center for Justice 2018-05-23
[20] 뉴스 Justices reject D.C. ban on handgun Ownership https://www.washingt[...] 2018-05-23
[21] 뉴스 Americans have right to guns under landmark ruling https://www.reuters.[...] 2018-05-23
[22] 뉴스 Justices Extend Firearm Rights in 5-to-4 Ruling https://www.nytimes.[...] 2010-06-28
[23] 서적 Guns in American society: an encyclopedia of history, politics, culture, and the law https://books.google[...] ABC-CLIO 2012
[24] 문서
[25] 뉴스 Clause and Effect https://www.nytimes.[...] 2007-12-16
[26] 웹사이트 Errors in the Constitution https://www.archives[...] archives.gov 2014-09-23
[27] 서적 U.S. Constitution For Dummies https://books.google[...] Wiley 2013-07-05
[28] 웹사이트 How a comma gave Americans the right to own guns http://www.businessi[...]
[29] 뉴스 Clause and effect https://www.nytimes.[...] 2016-07-01
[30] 웹사이트 National Archives – Bill of Rights https://www.archives[...] 2013-05-28
[31] 문서
[32] 간행물 District of Columbis et al. v. Heller https://www.supremec[...] 2020-08-07
[33] 서적 Separation of Powers in Practice – Thomas Campbell https://books.google[...] Stanford University Press 2004
[34] 서적 Separation of Powers in Practice https://smile.amazon[...] Stanford University Press 2013-06-27
[35] 웹사이트 A Century of Lawmaking for a New Nation: U.S. Congressional Documents and Debates, 1774–1875 http://memory.loc.go[...] memory.loc.gov 2014-09-23
[36] 웹사이트 Second Amendment – Bearing Arms http://www.gpo.gov/f[...] 2013-07-05
[37] 서적 Commentaries on the Laws of England 1765
[38] 논문 The Hidden History of the Second Amendment https://heinonline.o[...]
[39] 서적 To Keep and Bear Arms
[40] 웹사이트 Opinion of the Court in Heller https://www.law.corn[...]
[41] 웹사이트 1688 c.2 1 Will. and Mar. Sess. 2 http://www.statutela[...] Statutelaw.gov.uk 2010-08-30
[42] 문서 Law
[43] 문서
[44] 서적 Constitutional History of England 1938
[45] 서적 To Keep and Bear Arms
[46] 문서
[47] 문서
[48] 웹사이트 English Bill of Rights, 1689, "An Act Declaring the Rights and Liberties of the Subject and Settling the Succession of the Crown" http://avalon.law.Ya[...] Yale Law School 2012-12-26
[49] 웹사이트 The history of policing in the West, Collective responsibility in early Anglo-Saxon times http://www.britannic[...]
[50] 문서
[51] 웹사이트 Statutes at large https://archive.org/[...] 1762
[52] 웹사이트 An easy plan of discipline for a militia https://archive.org/[...] 1776
[53] 웹사이트 Founders Online: To George Washington from Timothy Pickering, 1775 https://founders.arc[...] 2022-08-27
[54] 웹사이트 An easy plan of discipline for a militia https://archive.org/[...] 1776
[55] 웹사이트 Journals of the Continental Congress --MONDAY, MARCH 29, 1779 https://memory.loc.g[...] 2022-08-27
[56] 웹사이트 A Century of Lawmaking for a New Nation: U.S. Congressional Documents and Debates, 1774 - 1875 https://memory.loc.g[...]
[57] 서적 Gun Control
[58] 서적 History of the Military Company of the Massachusetts, now called the Ancient and Honorable Artillery Company of Massachusetts: 1637–1888 https://books.google[...] Alfred Mudge & Son 2018-03-21
[59] 문서
[60] 문서
[61] 문서
[62] 문서
[63] 서적 The Second Amendment in Law and History: Historians and Constitutional Scholars on the Right to Bear Arms https://archive.org/[...] New Press 2001
[64] 문서
[65] 간행물 Know your lawmaker http://gunsmagazine.[...] George E. von Rosen 2018-03-21
[66] 논문 The Hidden History of the Second Amendment 1998
[67] 뉴스 The Second Amendment was ratified to preserve slavery http://truth-out.org[...] 2013-02-04
[68] 웹사이트 Whitewashing the Second Amendment https://www.motherjo[...] 2013-01-16
[69] 웹사이트 2nd Amendment passed to protect slavery? No! https://www.theroot.[...] 2013-01-21
[70] 문서
[71] 웹사이트 Pennsylvania Constitution of 1776 http://avalon.law.Ya[...] Yale Law School 2008
[72] 서적 Gun Violence in America: The struggle for control https://archive.org/[...] Northeastern University Press 2014-12-29
[73] 웹사이트 Redirecting https://heinonline.o[...] 2018-11-19
[74] 간행물 Boston, March 17 1769-04-13
[75] 문서 Charles, "Arms for Their Defence?", p. 4.
[76] 웹사이트 District Of Columbia V. Heller https://www.law.corn[...] Law.cornell.edu 2022-02-17
[77] 문서 Anderson and Horwitz, pp. 91–92.
[78] 웹사이트 Shay's rebellion http://www.homeofher[...]
[79] 문서 Pole and Greene, p. 386.
[80] 문서 Vile, p. 30.
[81] 문서 Merkel and Uviller, p. 79.
[82] 문서 McAffee and Quinlan, p. 781.
[83] 문서 Rakove, p. ?
[84] 문서 'Millis, p. 49. "The founders sought to balance military, as they did political, power, between people, states, and nation[.]"'
[85] 웹사이트 Letter from John Adams to Abigail Adams, December 22, 1793 http://www.masshist.[...] Masshist.org 2010-08-30
[86] 문서 US Constitution Article 1 Section 8: "To provide for organizing, arming, and disciplining, the Militia, and for governing such Part of them as may be employed in the Service of the United States, reserving to the States respectively, the Appointment of the Officers, and the Authority of training the Militia according to the discipline prescribed by Congress."
[87] 웹사이트 Elliots debates http://teachingameri[...] Teachingamericanhistory.org 2010-08-30
[88] 서적 Guns, democracy, and the insurrectionist idea Univ. of Michigan Press 2009
[89] 학위논문 Gunning for Office: Right-Wing Populism and Gender in the Congressional Campaigns of Lauren Boebert and Marjorie Taylor Greene https://theses.ubn.r[...] Radboud Universitet 2023-08-15
[90] 뉴스 The Second Amendment gives no comfort to insurrectionists https://www.nytimes.[...] 2023-08-13
[91] 서적 Journals of Congress Containing the Proceedings from January 1, 1776, to January 1, 1776 https://play.google.[...] R. Aitken 2018-06-10
[92] 웹사이트 Virginia Declaration of Rights http://avalon.law.ya[...] 2018-05-27
[93] 웹사이트 Constitution of Pennsylvania http://avalon.law.ya[...] 2018-05-27
[94] 간행물 DISTRICT OF COLUMBIA et al. v. HELLER https://www.supremec[...] 2020-08-09
[95] 서적 The History of the Society of Friends in America W. & F. G. Cash 1854
[96] 간행물 The Adoption of the Pennsylvania Constitution of 1776 1895-09
[97] 웹사이트 Constitution of Maryland http://avalon.law.ya[...] 2018-05-27
[98] 웹사이트 Constitution of North Carolina http://avalon.law.ya[...] 2018-05-27
[99] 웹사이트 The Constitution of New York http://avalon.law.ya[...] 2018-05-27
[100] 웹사이트 Constitution of Vermont http://avalon.law.ya[...] 2018-05-27
[101] 웹사이트 Massachusetts Constitution of 1780 https://malegislatur[...] 2018-05-27
[102] 문서 Mulloy, p. 43.
[103] 문서 Smith, pp. 591, 600.
[104] 간행물 An Armed Community: The origins and meaning of the right to bear arms
[105] 간행물 "[[s:The Federalist Papers/No. 29|Concerning the Militia]]" 1788-01-09
[106] 문서 Vile
[107] 문서 Schmidt et al.
[108] 문서 Williams
[109] 웹사이트 Commentaries on the Constitution http://press-pubs.uc[...] The University of Chicago Press 2013-04-10
[110] 문서 The Federalist Papers No. 46
[111] 웹사이트 An Examination of the Leading Principles of the Federal Constitution http://oll.libertyfu[...] 1787-10-10
[112] 서적 An Examination into the Leading Principles of the Federal Constitution 1787-10-10
[113] 문서 Foner and Garraty
[114] 문서 Adamson
[115] 웹사이트 Theories of Constitutional Interpretation http://law2.umkc.edu[...] University of Missouri-Kansas City Law School 2011-12-11
[116] 서적 A Necessary Evil: A history of American distrust of government https://archive.org/[...] Simon and Schuster 1999
[117] 서적 A Necessary Evil: A history of American distrust of government https://archive.org/[...] Simon and Schuster 1999
[118] 웹사이트 Articles of Confederation http://www.usconstit[...] Usconstitution.net 2010-08-30
[119] 웹사이트 US Library of Congress, repro of original text http://memory.loc.go[...] Memory.loc.gov 2010-08-30
[120] 웹사이트 US Constitution http://www.usconstit[...] US Constitution 2010-08-30
[121] 서적 The Debates in the Several State Conventions on the Adoption of the Federal Constitution 1863
[122] 서적 An Examination into the Leading Principles of the Federal Constitution 1787, Reprinted in Pamphlets on the Constitution of the United States, Published During Its Discussion by the People, 1787–1788 1971
[123] 서적 The Debates in the Several State Conventions on the Adoption of the Federal Constitution 1937
[124] 서적 Miscellaneous Papers of James Monroe New York Public Library
[125] 서적 Virginia Ratifying Convention 1788
[126] 웹사이트 The Second Amendment was ratified to preserve slavery https://www.rawstory[...] 2021-11-22
[127] 웹사이트 The Hidden History of the Second Amendment. In: University of California at Davis Law Review 31 (1998): 309. https://www.saf.org/[...] Second Amendment Foundation 2021-02-26
[128] 뉴스 Was the Second Amendment adopted for slaveholders ? https://www.minnpost[...] Minnpost 2021-02-26
[129] 서적 Slave Patrols: Law and Violence in Virginia and the Carolinas Harvard University Press 2001
[130] 웹사이트 The Hidden History of the Second Amendment, at page 336. In: University of California at Davis Law Review 31 (1998): 309. https://www.saf.org/[...] Second Amendment Foundation 2021-05-19
[131] 뉴스 The Second Amendment was ratified to preserve slavery https://www.rawstory[...] Raw Story 2018-02-23
[132] 서적 The Hidden History of Guns and the Second Amendment Berrett-Koehler Publishers 2019
[133] 간행물 The Right to Bear Arms a Disfavored Right https://www.document[...] 2019-01
[134] 간행물 Slavery root of the Second Amendment https://www.post-gaz[...] 2019-02-10
[135] 웹사이트 Gales & Seaton's History of Debates in Congress http://memory.loc.go[...] 1789-06-08
[136] 웹사이트 Journal of the House of Representatives of the United States http://memory.loc.go[...]
[137] 웹사이트 Annals of Congress http://memory.loc.go[...]
[138] 웹사이트 Annals of Congress http://memory.loc.go[...]
[139] 웹사이트 Journal of the Senate of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http://rs6.loc.gov/c[...]
[140] 문서
[141] 웹사이트 Journal of the Senate of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http://rs6.loc.gov/c[...]
[142] 웹사이트 Journal of the Senate of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http://rs6.loc.gov/c[...]
[143] 웹사이트 The Bill of Rights: A Transcription https://www.archives[...] 2015-11-04
[144] 웹사이트 Amendments to the Constitution of the United States https://www.gpo.gov/[...] Government Printing Office
[145] 웹사이트 Statutes at Large http://memory.loc.go[...]
[146] 문서 Merkel and Uviller
[147] 문서 Szatmary
[148] 웹사이트 Statutes at Large http://memory.loc.go[...]
[149] 문서 Merkel and Uviller
[150] 간행물 Public Acts of the Fifty-Seventh Congress of the United States https://www.loc.gov/[...] 1903
[151] 간행물 The Militia Act of 1903 1903-08
[152] 웹사이트 §246. Militia: composition and classes https://uscode.house[...] United States House of Representatives
[153] 문서 "Remarks on the First Part of the Amendments to the Federal Constitution" Federal Gazette 1792-06-18
[154] 웹사이트 A Critical Guide to the Second Amendment http://guncite.com/j[...]
[155] 문서 Tucker
[156] 웹사이트 The Second Amendment in the Nineteenth Century http://davidkopel.co[...] Second Amendment Project
[157] 서적 Blackstone's Commentaries: With notes of reference, to the Constitution and Laws, of the Federal Government of the United States and of the Commonwealth of Virginia https://books.google[...] William Young Birch, and Abraham Small 1803
[158] 문서 Rawle
[159] 서적 A View of the Constitution of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https://books.google[...] H. C. Carey & I. Lea 1825
[160] 웹사이트 A View to the Constitution of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http://www.portagepu[...] Portage Publications 2011
[161] 문서 Rawle
[162] 서적 A Familiar Exposition of the Constitution of the United States: Containing a brief commentary on every clause, explaining the true nature, reasons, and objects thereof 1833
[163] 서적 A Familiar Exposition of the Constitution of the United States: Containing a Brief Commentary on Every Clause, Explaining the True Nature, Reasons, and Objects Thereof https://books.google[...] The Lawbook Exchange, Ltd 1865
[164] 서적 Commentaries on the U.S. Constitution https://archive.org/[...] Harper & Brothers 1833
[165] 문서 Spooner
[166] 문서 Renehan
[167] 문서 Spooner
[168] 문서 Cramer
[169] 서적 Manual of the Constitution of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https://archive.org/[...] Little, Brown 1872
[170] 간행물 The Abnegation of Self-Government http://repository.la[...] University of Michigan Law School 1883-11
[171] 서적 A treatise on the constitutional limitations which rest upon the legislative power of the states of the American union https://books.google[...] Little, Brown and company 1871
[172] 서적 The General Principles of Constitutional Law in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https://books.google[...] F.B. Rothman 1880
[173] 문서 A Necessary Evil: A History of American Distrust of Government Simon and Schuster 1999
[174] 서적 Right to Keep and Bear Arms Paladin Press 2001
[175] 웹사이트 United States v. Emerson https://caselaw.find[...]
[176] 서적 Freedmen, the 14th Amendment, and the Right to Bear Arms, 1866–1876 https://books.google[...] Greenwood Publishing Group 2013-03-19
[177] 간행물 Armed by Right: The emerging jurisprudence of the Second Amendment 2008
[178] 간행물 Explaining away the Obvious: The infusibility of characterizing the Second Amendment as a nonindividual right 2008
[179] 간행물 Citizen Gun Rights: Incorporating the Second Amendment through the privileges or immunities clause 2009
[180] 간행물 Explaining away the Obvious: The infusibility of characterizing the Second Amendment as a nonindividual right 2008
[181] 서적 Silveira v. Lockyer 9th Circuit Court of Appeal 2002
[182] 서적 Was the Right to Keep and Bear Arms Conditioned on Service in an Organized Militia? https://books.google[...] 2013-03-21
[183] 문서 George A. Mocsary, ''Explaining Away the Obvious: The Infusibility of Characterizing the Second Amendment as a Nonindividual Right'', 76 ''Fordham Law Review'' 2113, 2133 (2008).
[184] 문서 Kenneth A. Klukowski, ''Citizen Gun Rights: Incorporating the Second Amendment Through the Privileges or Immunities Clause'', 39 ''New Mexico Law Review'' 195, 200 (2009) (citing ''United States v. Wright'', 117 F.3d 1265, 1273–74 (11th Cir. 1997); ''United States v. Rybar'', 103 F.3d 273, 286 (3d Cir. 1996); ''United States v. Hale'', 978 F.2d 1016, 1020 (8th Cir. 1992); ''United States v. Oakes'', 564 F.2d 384, 387 (10th Cir. 1977); ''Cases v. United States'', 131 F.2d 916, 923 (1st Cir. 1942)).
[185] 간행물 "Parker v. District of Columbia': Understanding the Broader Implications for the Future of Gun Control" 2008
[186] 문서 George A. Mocsary, "Explaining Away the Obvious: The Infusibility of Characterizing the Second Amendment as a Nonindividual Right", 76 ''Fordham Law Review'' 2113, 2134 (2008).
[187] 문서 Merkel and Uviller, p. 150. "The linguistically correct reading of this unique construction is as though it said: 'Congress shall not limit the right of the people (that is, the potential members of the state militia) to acquire and keep the sort of arms appropriate to their military duty, so long as the following statement remains true: "an armed, trained, and controlled militia is the best{{snd}}if not the only{{snd}}way to protect the state government and the liberties of its people against uprisings from within and incursions or oppression from without."'"
[188] 문서 Winterer, pp. 1–21
[189] 웹사이트 Amicus Brief, ACRU, Case No. 03-CV-0213-EGS, Shelly Parker, et al. vs. District of Columbia https://web.archive.[...] 2010-08-30
[190] 문서 Frey and Wellman, p. 194.
[191] 문서 Shapiro, p. 148.
[192] 문서 Volokh, "Commonplace", p. 793. "The Second Amendment is widely seen as quite unusual, because it has a justification clause as well as an operative clause. Professor Volokh points out that this structure was actually quite commonplace in American constitutions of the Framing era: State Bills of Rights contained justification clauses for many of the rights they secured."
[193] 서적 Elements of Argument: A Text and Reader https://books.google[...] Macmillan 2018-05-23
[194] 웹사이트 Warren Burger '2nd Amendment Fraud' https://www.youtube.[...] PBS 2018-05-23
[195] 뉴스 It's Time to Pass the Brady Bill https://www.washingt[...] 2018-05-23
[196] 간행물 Lost and Found: Researching the Second Amendment https://scholarship.[...] IIT Chicago-Kent College of Law 2018-05-27
[197] 웹사이트 How the NRA rewrote the Second Amendment https://www.brennanc[...] Brennan Center for Justice 2018-05-24
[198] 웹사이트 Justice Stevens: Six Little Ways to Change the Constitution https://www.npr.org/[...] 2020-06-11
[199] 서적 A Discourse of Government with Relation to Militias https://books.google[...] J. Bettenham 2023-03-22
[200] 문서 From Thomas Jefferson to the Earl of Buchan, 10 July 1803 https://founders.arc[...] 2020-05-26
[201] 문서 Merkel, p. 361. "Well-regulated meant well trained, rather than subject to rules and regulations."
[202] 문서 "Heller'', Opinion of the Court, Part II-A-2."
[203] 웹사이트 Scalia in Heller https://www.law.corn[...] 2013-03-25
[204] 웹사이트 Stevens' dissent in District of Columbia v. Heller (No. 07-290) https://www.law.corn[...] 2013-03-25
[205] 웹사이트 District of Columbia v Heller http://supreme.justi[...] 2010-08-30
[206] 간행물 District of Columbia et al. v. Heller https://www.supremec[...] 2020-08-09
[207] 서적 The Supreme Court's Thirty-five Other Gun Cases: What the Supreme Court Has Said about the Second Amendment https://books.google[...] Independence Institute 2013-03-17
[208] 서적 Gun Control and Gun Rights https://archive.org/[...] Greenwood Publishing Group 2003
[209] 간행물 The past and future of the individual's right to arms https://www.georgial[...] 1996
[210] 웹사이트 District of Columbia v Heller https://www.law.corn[...] Cornell University Law School 2010-08-30
[211] 뉴스 Opinion – Antonin Scalia was wrong about the meaning of 'bear arms' https://www.washingt[...] 2018-05-21
[212] 간행물 What Did 'Bear Arms' Mean in the Second Amendment? https://ssrn.com/abs[...] 2008
[213] 간행물 The Unconstitutionality of Unfinished Receiver Bans https://www.harvard-[...] 2023-03-05
[214] 서적 Gun Control
[215] 웹사이트 FindLaw | Cases and Codes http://caselaw.lp.fi[...] 2013-07-05
[216] 웹사이트 "United States v. Miller" http://supreme.justi[...] 2010-08-30
[217] 웹사이트 "District of Columbia v. Heller" http://supreme.justi[...] 2010-08-30
[218] 문서 Cruikshank
[219] 문서 Cruikshank
[220] 문서 Cruikshank
[221] 문서 Doherty
[222] 뉴스 The Lehr und Wehr Verein https://query.nytime[...] 1886-07-20
[223] 웹사이트 Presser v. Illinois, 116 U.S. 252 (1886), at 265 https://supreme.just[...] Justia US Supreme Court Center 1886-01-04
[224] 서적 For the defense of themselves and the state: the original intent and judicial interpretation of the right to keep and bear arms https://archive.org/[...] Praeger 2013-03-11
[225] 문서 Miller
[226] 문서 Robertson
[227] 웹사이트 United States v. Schwimmer, 279 U.S. 644 (1929), at 650 https://supreme.just[...] Justia US Supreme Court Center 1929-05-27
[228] 문서 Miller
[229] 문서 Miller
[230] 문서 Miller
[231] 웹사이트 The misconstruction of United States v. Miller http://www.secondame[...] 2009-01-05
[232] 뉴스 One Court's Second Amendment Fantasy https://huffingtonpo[...] 2011-04-29
[233] 문서 McClurg
[234] 웹사이트 District of Columbia v. Heller (No. 07-290) https://www.law.corn[...] Cornell University Law School 2012-12-26
[235] 웹사이트 Cornell School of Law Summary of the "Heller" Decision https://www.law.corn[...] Law.cornell.edu 2012-09-01
[236] 웹사이트 Post-Heller Litigation Summary https://giffords.org[...] Giffords Law Center to Prevent Gun Violence 2020-08-25
[237] 문서 Caetano v. Massachusetts
[238] 웹사이트 People v. Yanna, 824 NW 2d 241 - Mich: Court of Appeals 2012 https://scholar.goog[...] Court of Appeals of Michigan 2012-06-26
[239] 웹사이트 Witkin Legal Institute Summary of the "Heller" Decision http://www.witkin.co[...] Witkin.com 2012-12-26
[240] 웹사이트 Nathan Moore Summary of the Heller Decision http://mooredefensel[...] Mooredefenselaw.com 2012-12-26
[241] 웹사이트 Global Legal Information Network Summary of the "Heller" Decision http://www.glin.gov/[...] Glin.gov 2012-09-01
[242] 웹사이트 OLR Research Institute's Summary of the Heller Decision http://www.cga.ct.go[...] Cga.ct.gov 2012-09-01
[243] 웹사이트 Oyez Summary of the "Heller" Decision https://www.oyez.org[...] Oyez.org 2012-12-26
[244] 웹사이트 "Legal Community Against Violence" Summary of the "Heller" Decision http://www.lcav.org/[...] Lcav.org 2012-09-01
[245] 웹사이트 People v. Aguilar, 2013 IL 112116 http://www.state.il.[...] 2014-09-14
[246] 웹사이트 Supreme Court Strikes Down D.C. Gun Ban http://www.law.com/j[...] 2008-06-27
[247] 뉴스 Landmark ruling fires challenges to gun laws https://www.usatoday[...] 2008-06-27
[248] 뉴스 Americans have right to guns under landmark ruling https://www.reuters.[...] 2008-06-26
[249] 뉴스 Justices, Ruling 5–4, Endorse Personal Right to Own Gun https://www.nytimes.[...] 2008-06-27
[250] 뉴스 Few Ripples From Supreme Court Ruling on Guns https://www.nytimes.[...] 2009-03-16
[251] 뉴스 Ruling upholds most gun control laws http://m.detnews.com[...] 2008-06-30
[252] 뉴스 Heller Opinion of the Court, Part III
[253] 뉴스 Illinois' bid for rehearing of gun-carry appeal rejected http://origin-www.bl[...] 2013-02-22
[254] 뉴스 Scalia: Right to bear arms is "not unlimited" http://www.upi.com/T[...] 2012-12-16
[255] 서적 Lethal Logic: Exploding the myths that paralyze American gun policy https://books.google[...] Potomac Books 2009
[256] 서적 Libertarianism Today https://books.google[...] ABC-CLIO 2010
[257] 뉴스 "It's a Long Story": Justice John Paul Stevens, 98, Is Publishing a Memoir https://www.nytimes.[...] 2018-11-26
[258] 웹사이트 The Supreme Court will hear a major Second Amendment case that could gut US gun laws https://www.vox.com/[...] 2021-04-26
[259] 웹사이트 District of Columbia v. Heller http://www.witkin.co[...]
[260] 웹사이트 "Heller", Justice Stevens dissenting http://supreme.justi[...]
[261] 웹사이트 Heller Opinion of the Court, Part II-A-1-b
[262] 웹사이트 "Heller", Justice Breyer dissenting http://supreme.justi[...]
[263] 웹사이트 "Heller", Opinion of the Court, Part II-D-1 http://supreme.justi[...]
[264] 웹사이트 District of Columbia v. Heller http://caselaw.lp.fi[...]
[265] 뉴스 Justices Rule for Individual Gun Rights https://www.nytimes.[...] 2008-06-27
[266] 웹사이트 Justice Ginsburg Part II: Gender, the Second Amendment, Immigration & More http://www.wnyc.org/[...] wnyc.org
[267] 간행물 Slavery root of the Second Amendment https://www.post-gaz[...] 2019-02-10
[268] 문서 Picadio 2019
[269] 웹사이트 Summary of the Recent McDonald v. Chicago Gun Case https://www.cga.ct.g[...] Office of Legal Research – Connecticut General Assembly 2010-08-20
[270] 웹사이트 Analysis: state gun regulations and McDonald http://www.scotusblo[...] SCOTUSblog 2010-06-28
[271] 웹사이트 United States v. Rahimi, 602 U. S. ____ (2024), Opinion of the Court, page 5 https://www.supremec[...] United States Supreme Court 2024-06-21
[272] 서적 The U.S. Constitution and Constitutional Law https://books.google[...] Rosen Publishing Group 2013
[273] 웹사이트 The Second Amendment expands, but maybe not by much http://www.scotusblo[...] SCOTUSblog 2016-03-21
[274] 웹사이트 Caetano v. Massachusetts, 577 U.S. ___ (2016) https://www.supremec[...] slip op. at 2 (per curiam). 2016
[275] 웹사이트 Caetano v. Massachusetts, 577 U.S. ___ (2016) https://www.supremec[...] slip op. at 4, footnote 3 (Alito, J., concurring in the judgment) 2016
[276] 웹사이트 Supreme Court Takes 1st Gun Case In Nearly A Decade, Possibly With Big Consequences https://www.npr.org/[...] 2019-01-22
[277] 뉴스 Supreme Court Dismisses Challenge to New York City Gun Ordinance https://www.nytimes.[...] 2020-04-27
[278] 웹사이트 Court to take up major gun-rights case https://www.scotusbl[...] 2021-04-26
[279] 뉴스 Supreme Court allows the carrying of firearms in public in major victory for gun-rights groups https://www.nbcnews.[...] NBC News 2022-06-23
[280] 웹사이트 Supreme Court upholds bar on guns under domestic-violence restraining orders https://www.scotusbl[...] 2024-06-21
[281] 웹사이트 District of Columbia v. Heller http://assets.opencr[...] 2013-06-27
[282] 문서 Cases v. United States
[283] 서적 Heller's Catch 22
[284] 뉴스 Few Ripples From Supreme Court Ruling on Guns https://www.nytimes.[...] 2009-03-26
[285] 웹사이트 Heller v. District of Columbia 2010 http://www.leagle.co[...] Leagle 2010-03-26
[286] 간행물 Some D.C. Gun Laws Unconstitutional https://www.usnews.c[...] 2015-09-18
[287] 간행물 In Major Win for 2nd Amendment Advocates, Federal Court Blocks D.C. from Enforcing Conceal-Carry Restriction http://reason.com/bl[...] 2017-07-25
[288] 문서 Rene E.
[289] 뉴스 N.Y.'s Concealed Gun Licensing Scheme Is Upheld by Circuit https://www.law.com/[...] 2012-11-28
[290] 뉴스 US appeals court says people convicted of nonviolent offenses shouldn't face lifetime gun ban https://abcnews.go.c[...] 2023-06-06
[291] 서적 Heller's Catch 22
[292] 웹사이트 United States Court of Appeals, Fourth Circuit https://caselaw.find[...] Thomson Reuters 2012-12-26
[293] 문서 Part III of the decision
[294] 뉴스 Fourth Circuit requires application of strict scrutiny in challenge to Maryland gun law http://jurist.org/pa[...] JURIST 2016-02-05
[295] 웹사이트 Order granting rehearing en banc http://www.ca4.uscou[...]
[296] 서적 Weisselberg
[297] 웹사이트 Text of decision in Dorosan http://www.ca5.uscou[...]
[298] 문서 Tyler v. Hillsdale Co. Sheriff's Dept.
[299] 웹사이트 Federal Circuit Court Holds That Involuntary Mental Commitment Cannot Prevent A Person From Asserting His 'Fundamental Right' Of Gun Ownership https://ggtmlaw.com/[...] Gielow, Groom, Terpstra & McEvoy 2015-01-21
[300] 문서 Tyler v. Hillsdale County Sheriff's Dep't
[301] 웹사이트 Skoien and the many challenges of Second Amendment jurisprudence http://sentencing.ty[...] 2010-08-13
[302] 웹사이트 U.S. v. Skoien No. 08-3770 http://www.courthous[...]
[303] 웹사이트 Laws, Life, and Legal Matters – Court Cases and Legal Information at Leagle.com – All Federal and State Appeals Court Cases in One Search http://www.leagle.co[...]
[304] 웹사이트 The right to regain the right to own a gun http://www.journalti[...]
[305] 뉴스 Dennis A. Henigan: New Court Ruling Throws Cold Water on "Gun Rights" Celebration https://huffingtonpo[...] 2010-07-16
[306] 뉴스 Moore v. Madigan (Circuit docket 12-1269) http://www.suntimes.[...] suntimes.com 2012-12-18
[307] 웹사이트 Broader gun right declared http://www.scotusblo[...] SCOTUSblog 2012-12-11
[308] 뉴스 Supreme Court Gun Ruling Doesn't Block Proposed Controls https://www.nytimes.[...] 2012-12-18
[309] 웹사이트 Moore v. Madigan, key points http://www.volokh.co[...] The Volokh Conspiracy 2012-12-11
[310] 웹사이트 Rehearing En Banc Denied in Case Invalidating Illinois' Ban on Carrying Loaded Guns in Public http://www.volokh.co[...] The Volokh Conspiracy 2013-02-22
[311] 웹사이트 Illinois Firearm Concealed Carry Act Will Require Employers to Take Action http://www.hklaw.com[...] Holland & Koch 2013-08-05
[312] 뉴스 Illinois Is Last State to Allow Concealed Carry of Guns https://www.reuters.[...] 2013-07-09
[313] 저널 Illinois Abolishes Ban on Carrying Concealed Weapons https://www.wsj.com/[...] 2013-07-09
[314] 뉴스 General Assembly Overrides Veto, Legalizing Concealed Carry in Illinois https://patch.com/il[...] Patch Media 2013-07-09
[315] 뉴스 Ninth Circuit Will Rehear Nordyke v. King En Banc http://volokh.com/po[...] The Volokh Conspiracy 2009-07-29
[316] 뉴스 High-Profile Gun Rights Case Inches Toward Supreme Court http://www.cbsnews.c[...] CBS News 2009-08-25
[317] 뉴스 Appeals Court Sets Rehearing on Ruling That Eased Gun Restrictions https://www.nytimes.[...] 2009-07-30
[318] 웹사이트 Second Amendment: Less chance of review? http://www.scotusblo[...] SCOTUSblog 2009-07-30
[319] 웹사이트 Nordyke v. King http://www.ca9.uscou[...]
[320] 웹사이트 Second Amendment extended http://www.scotusblo[...] SCOTUSblog 2009-04-20
[321] 웹사이트 Circuit Court bolsters gun rights http://www.scotusblo[...] SCOTUSblog 2011-05-04
[322] 웹사이트 Text of November 28 order granting rehearing http://www.hoffmang.[...] 2012-09-01
[323] 뉴스 9th Circuit agrees to rehear long-running Alameda County gun rights case http://www.insidebay[...] 2011-11-29
[324] 웹사이트 Major gun case shunted aside http://www.scotusblo[...] SCOTUSblog 2012-04-04
[325] 웹사이트 Nordyke gun case nears end http://www.scotusblo[...] SCOTUSblog 2012-06-02
[326] 웹사이트 Teixeira v. County of Alameda (Circuit docket 13-17132) https://cdn.ca9.usco[...] 2016-05-16
[327] 웹사이트 Peruta v. San Diego https://cdn.ca9.usco[...]
[328] 뉴스 Federal appeals court says states can restrict open carry of firearms https://www.cnn.com/[...] CNN 2021-03-26
[329] 웹사이트 Bill of Rights: Primary Documents of American History https://www.loc.gov/[...] Library of Congress 2018-06-04
[330] 간행물 District of Columbis et al. v. Heller https://www.supremec[...] 2020-08-07
[331] 웹인용 NYT “마음만 먹으면 무장… 美의 끔찍한 현실” http://www.donga.com[...] 2007-07-10
[332] 문서 United States v. Miller(1939) 사건 http://supct.law.cor[...]
[333] 문서 코넬대학교 로스쿨 법률정보연구소 헌법 주해 http://www.law.corne[...]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